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3 오후 05:26:2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결혼/돌
부고안내
 
기획 > 전체기사 최종편집 : 2025-05-13 오전 10:13:31 |
출력 :
[이슈]<대한민국 도예 거장 도천 추모 기획> 한국 도자계의 큰 산 도천 천한봉 선생 별세
한국의 도예 거장이자 큰 산으로 알려진 도예가 도천 천한봉 선생이 향년 89세로 지난 10월 31일 이른 새벽에 타계했다. 생전이라면 잠에서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23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소에 관한 단상(斷想)
먼먼 꼬맹이 시절 시원한 바람 스치는 개울가 꼬리로 쇠파리 날리며 한가로이 풀 뜯고 있는 소를 바라보았네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21일
[오피니언][명사 칼럼] 시민은 알 수도 없는 ‘새문경 뉴딜(?) 정책’, 무조건 찬양만이 능사인가?
부모님의 고향인 우리 문경시에 귀농해 몇 년째 살고 있는 필자는 최근 놀라운 광경을 목격했다. 갑자기 뜬금없이 문경시 전역에 이른바 ‘새문경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20일
[오피니언]고모산성 사적지 지정을 위한 선결 과제, 고모산성 서문지 대형 지하 목조 건축물 재발굴 건의
지금으로부터 14년 전인 지난 2007년 6월 경향 각지 언론방송사가 보도한 빅 뉴스로 인해 학계는 물론, 모든 국민의 시선이 문경시에 집중된..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14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놀이터의 밤
깔깔대던 아이들이 돌아가 버린 뒤 혼자 돌고 있는 회전그네는 별빛이 내려와 앉아 고독하지 않다 바람이 지나간 빈자리엔 침묵이 장승처럼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13일
[오피니언]<명사칼럼> 혁명적인 발상의 전환이 없으면, 문경시의 몰락은 내일이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정말 “날개가 있다면 추락했을까?”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필자가 귀농해 2년간 살아본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09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된장냄새
하루 세 번 꼬박꼬박 슬픔의 밥덩이와 눈물의 국물을 넘긴다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07일
[오피니언]<글 / 전 문경문인협회 회장 이만유> '문경문학관' 그 정체성과 미래를 위하여...
지난 4일 문경시 산북면 소재 문경문학관이 개관 3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지역 문화 창달과 문학 저변 확대를 위하여 사재를 들여 문학관을..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06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겨울비
겨울비가 내렸습니다 으스스 추운 날에 내린 겨울비 몸과 마음을 춥게 합니다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04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삼강주막
낙동강·내성천·금천이 합류한 강나루엔 저무는 석양 그대로, 바람 그대로, 산 그늘도 그대로, 강물도 그대로 비틀비틀 비끼고...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2월 04일
[오피니언]문경새재아리랑제 삐걱!
지난달 18일 문경문화원이 “제14회 문경새재아리랑제 자문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어 올해 행사를 오는 12월 3, 4, 5일 중 개최하기로 하..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25일
[오피니언]‘화목보일러 안전 수칙’ 기억해 안전한 겨울을 보내자.
화목보일러는 나무로 만들어진 재료를 땔감으로 사용하거나 나무와 유류를 혼용하도록 제작돼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 절감에 효과를 볼 수 있어 꾸준한..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25일
[오피니언]<명사 칼럼> 종전선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주지하다시피 북한군의 전면 기습 남침으로 6.25전쟁이 일어났다. 그후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었다. 휴전이란 말 그대로 전쟁..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24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가을, 감사의 기도
오곡백과 결실을 보면서 주님께 감사하게 하소서 처연한 낙엽을 바라보며 생명을 찬양하게 하소서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20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하늘 낮은 가을날에
가을하늘이 높고 푸르른 것만 아니네 가을하늘 낮게 가라앉아 맘도 저수위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15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유대인 혈통 프랑스 장교 알프레드 드레퓌스와 프랑스 작가 에밀 프랑수아 졸라
드레퓌스사건 1백주년을 맞는 그때 드레퓌스 무덤을 에밀졸라가 묻힌 팡테옹묘지 곁에 옮기려 했었다네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14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곶감
반청시(半靑柿)의 인고(忍苦)에다 뙤약볕과 서릿바람 번갈아 시련(試鍊)을 더 주어야 호랑이도 겁내는 곶감이 된다며 옷 벗겨..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14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가을 산
봄꽃이나 여름꽃보다 더욱 아름다운 단풍꽃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08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가을비에 관한 추억
고운 색동옷들 훌훌 벗어던지며 이별눈물에 젖고 있는 모습들은 가슴을 찌르고 있는 비수이네요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08일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2021 문경문협 가을 시화전 김석태 詩 출품작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문경새재에 전시된 2021 문경문협(회장 김종호) 가을 시화전에 출품된 김석태 詩는 '은행나무거리'이다. ..
문경시민신문 기자 : 2021년 11월 08일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최신뉴스
문경에코월드, 물놀이장부터 VR..  
문경경찰서, 5월 한달간 학교폭..  
문경경찰서, ‘안전띠 일상화’ ..  
화합과 치유의 무대, 제63회 ..  
놀이로 배우는 하루, 즐거운 체..  
공감력 UP 지역연계 학교예술교..  
함께 걸으며 따뜻한 정을 나눠요..  
문경시가족센터, 결혼이민자·외국..  
조선요 문산김영식 사기장 '동양..  
스승의 날 맞아‘상주문경장학회’..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문경찻사발..  
나 그네..  
경북도, 국정과제에 반영할 저출..  
2025 공연예술 지역 유통지원..  
문경새재관리사무소, 푸드부스 1..  
문경시, 농촌공간 미래 그린다!..  
익명의 독지가, 영순면 후원금 ..  
영순면새마을회, 농약빈병 및 헌..  
문경경찰서, 관리자 대상 성희롱..  
농식품 유통 새바람 ‘농식품유통..  
오늘은 내가 동화 속 주인공..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어제의 꿈! 오늘의 탐구! ..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반드..  
더불어민주당 경북, 대선 출정식..  
경북교육청, 경북형 늘봄학교 운..  
「2025 문경찻사발축제」새로운..  
문경시, 트롯 유망주‘이재희’,..  
추미애 골목 총괄선대위원장, 지..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온기종기..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  
낙동강 환경·시민활동가 1,30..  
문경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  
문경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5월..  
실시간 많이본 뉴스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2025 문경찻사발축제, 성대한..
「2025 문경찻사발축제」황금 ..
부처님께 간절히 청원 드리옵니다..
「2025 문경찻사발축제」새로운..
새재포럼 ‘문경 역사의 미’라는..
마성신현1리 새사모(새원을사랑하..
문경시, 2025년 건물번호판 ..
2025 문경찻사발축제 주요행사..
신현국 문경시장,‘중앙공원 정비..
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문경시민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1-81-08345/ 주소: 문경시 마성면 신현1길 20번지 / 등록일 : 2013년4월29일 / 발행인.편집인: 김정태
mail: ctn6333@daum.net / Tel: 054-553-8118 / Fax : 054-553-216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61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태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