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백산헤리티지 김남희 대표이사 문경시 국가유산 가치 전승과 관광사업 활성화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25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 수상
국내유일 300년 사기장 도예명가 영남요 가문의 역사와 문경시 국가유산 가치를 전승하고 해외전파에도 힘써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25년 09월 02일(화) 20:01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경상북도 문경에는 300여 년 전통의 장인정신으로 조선백자의 가치와 품격을 높여온 도예명가가 있다. 조선 영조시대 김취정 선조부터 9대를 이어온 ‘국가무형유산 백산(白山) 김정옥 사기장’의 도자 가문 ‘영남요(www.baeksan-kimjungok.com)’이다.
영남요 7대 김정옥 선생은 1991년 ‘대한민국 도예명장 1호’에 오른 후 1996년 국내 유일의 ‘국가무형유산 사기장’으로 지정됐으며, 8대 우남 김경식(사기장 전승교육사)과 9대 김지훈(사기장 이수자)이 가업을 잇고 있다. ‘사기장(沙器匠)’이란 조선 왕실의 그릇(자기)을 만든 사옹원 분원(司饔院 分院)에서 사기를 제작하던 장인을 일컫는 말이다.
김 대표는 백산 김정옥 사기장의 딸로 문경에서 자라 점촌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가정학)을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술사 석사학위 취득 및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아울러 김정옥 사기장의 조부인 비안 김운희(영남요 5대) 사기장이 사옹원 분원에서 작업했던 행적에 관한 ‘하재일기(1891~1911, 지규식 著)’의 기록을 김남희 대표가 석사과정 중 발견해 ‘조선말기 문경 관음리 망동요 연구’ 등 학위논문과 연구논문으로 학계에 알리면서 가문의 정통성이 확립됐다.
또한 김 대표는 올해까지 매년 ▲전수관 활성화사업 ▲지역국가유산 교육사업 ▲국가유산 야행 사업 ▲생생 국가유산사업 등을 총괄기획하며, 국가유산청의 우수사업에 선정돼 2019년부터 4년 연속으로 국가유산청장상도 수상했다.
현재는 ‘2025 생생 국가유산 사업’인 <문경새재에서 ‘사기장(沙器匠)’의 길을 걷다>로 ▲사기장 실감(ICT)공방, 세계와 소통하다 ▲사기장과 함께하는 국가무형유산 탐방 데이 ▲기후변화대책-전통지혜와 미래 무형유산 발굴 프로젝트 ▲문경새재 옛길에서 만나는 국가유산 등의 프로그램을 전수관 및 문경새재 일원에서 활발히 운영하고 있다.
특히 ‘사기장 실감공방, 세계와 소통하다’는 미디어아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월, 프로젝션 맵핑 및 AR 기술 등으로 ‘영남요 9대의 300년 역사’를 디지털화해 ‘국가무형유산 김정옥 사기장의 조선백자 제작기법과 작품세계’, ‘가문 전통 발물레와 망댕이가마(장작가마)의 역사’, ‘도자기 소성 방법’ 등을 생생하고 현장감 있게 전달하는 프로젝트다.
나아가 “국가유산청의 문경시 생생국가유산 사업과 전수관 활성화사업을 각각 6년, 7년째 진행하고 있다”면서 “그간 축적한 역량을 바탕으로 문경시의 국가유산 활용 및 국제교류, 문화관광 사업 육성에 더욱 노력할 것”이란 뜻도 내비쳤다.
또한 김 대표는 2023년 국립무형유산원의 한독수교 140주년 기념 초청공연인 ‘생각하는 손(Thinking Hands)’의 사기장 코디네이터와 프랑스 파리의 세르누치 박물관(Musée Cernuschi)에서 ‘Master Baeksan(한국도예의 거장 백산)’을 주제로 두 달간 전시를 개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국가무형유산 사기장 가문 영남요의 장인들’을 국제무대에 선보이면서 유럽 문화의 심장 파리와 베를린을 도자기 한류 무형유산으로 사로잡았다.
해외무대뿐만 아니라 올해까지 김 대표가 주관하는 생생국가유산 사업의 프로그램으로 영남요와 전수관을 방문한 외국인은 주한외교대사 및 사절단, 주한대사부인회, CIEE 연세대학교 미국유학생들,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올리비에 드 쎄레스 국립응용미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arts appliqués et des métiers d'art/ ENS AAMA) 의 학생들과 교수진 등 재한외국인들 뿐만 아니라 해외의 공예전문학교에서도 방문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한편, (주)백산헤리티지 김남희 대표는 문경시 국가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과 국제교류업무에 헌신하고, 전통 도예문화의 연구․보존 및 가치 전승을 도모하면서 문경시 국가유산관광 사업 활성화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8월29일 ‘2025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주)백산헤리티지 김남희 대표이.. |
추석 명절 임금체불 집중청산기간.. |
경북도, AI 기반 돌봄 서비스.. |
손편지로 전한 마음, 세대를 잇.. |
경북도의회 예결특위, 민생 .. |
모전여성의용소방대, 치매가구 주.. |
산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 |
재능기부 봉사단체 따스한 세상,.. |
문경시, 청렴문화 조성 실천 회.. |
강남 연가.. |
기고문 -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
지난해 우울증 환자 110만명 .. |
경북교육청, 제15회 전국상업경.. |
롯데칠성음료 1위, 오뚜기 2위.. |
임이자 기재위원장, 「지역균형발.. |
경북교육청, 소통과 공감으로 다.. |
문경시공동육아나눔터 돌봄품앗이.. |
대한노인회 문경시지회, 제룡사.. |
“미래 주역 경주초등 학생들,경.. |
도기욱 경북도의원, 경상북도교육.. |
경북도, 2025 APEC 개최.. |
경북도, 제11회 ‘경상북도청소.. |
“제37대 유진선 문경교육지원청.. |
점촌도서관, 2025년 9월 독.. |
질문 기반 도덕 수업 율곡초 이.. |
2025년 업무개선ㆍ경감과제 상.. |
문경시, 제9회 문경아시아소프트.. |
[기획 4/5] 경북교육청, 폐.. |
[논평] 지역현안 외면, 국민의.. |
점촌2동 자연보호협의회, 생태계.. |
산북면 주민자치위원회, '한여름.. |
영순면 새마을회, 사랑의 배추·.. |
문경시, 2025 창농·귀농 고.. |
문경시, 청소년이 직접 기획한 .. |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국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