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보건환경연구원,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 모기 발견
‘작은빨간집모기’ 채집, 일본뇌염 대비 필요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25년 07월 06일(일) 10:43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경북보건환경연구원은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 사업을 통해 올해 도내에서 처음으로 일본뇌염 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를 채집했다.
연구원은 매년 4월부터 질병관리청과 함께 일본뇌염 모기 감시 사업을 지속해서 하고 있으며, 7월 1일 도내 대표 감시지역(영천시 금호읍 일대)에서 진행한 조사에서 채집한 524마리 모기 중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 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4마리를 확인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사람에게 전파할 수 있는 주요 매개종으로, 이 모기가 처음 채집되었다는 것은 일본뇌염 발생 위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로 여겨진다.
이번 채집 시기는 지난해(6월 18일)에 비해 다소 늦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기상 여건이나 서식 환경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 축사, 웅덩이 등 물이 고인 곳에 서식하며 야간에 활발히 흡혈 활동을 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보유한 돼지나 소 등의 혈액을 모기가 흡혈한 뒤 사람을 물어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어 방역 관리가 중요한 종으로, 국내에서는 3월 말부터 출현해 여름철에 개체 수가 크게 늘어난다.
경북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일본뇌염은 예방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개인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며 “모기 발생이 본격화하는 시기에 접어든 만큼, 도내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모기 감시 사업을 지속해서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달.. |
경북도-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 |
공무원연금공단, ‘한라봉(한여름.. |
문경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자.. |
정청래 대표, 599일째 고공농.. |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 20.. |
문경시 육아종합지원센터,‘커다란.. |
이별 아리에타.. |
나만의 향기를 담다, 룸 스프레.. |
점촌도서관, 지역 어린이들에게 .. |
출렁다리 학교 / 김병중.. |
점촌4동 도시재생사업, 주민들과.. |
문경시 파크골프협회, 파크골프장.. |
2025 선행교육 예방 및 점검.. |
문화산업고위급대화 대표단, 경북.. |
문경시립도서관, 9월 독서의 달.. |
문경시, 문경사랑 상품권 할인율.. |
문경시 직장·공장새마을협의회, .. |
문경시, 토지분할 허가 15일을.. |
문경관광공사, ‘E-웨이스트 제.. |
월악산국립공원 가을철 탐방로 예.. |
문경시종합사회복지관 노인맞춤돌봄.. |
성남시의회 의원 문경시의회 방문.. |
문경경찰서, 개학기 제동장치 없.. |
“음악적 성공이 배움의 에너지가.. |
‘백문불여일견’ 문경미래교육, ..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2025.. |
‘코리안 데이즈 앳 테르메’에서.. |
문경시 청년센터, 2025년 후.. |
문경미래교육지구 실무위원회, 우.. |
점촌1동 새마을회, 충혼탑 공원.. |
북교육청, 학생 선수의 권익과 .. |
소주스토리, 안동소주 공장 첫삽.. |
마성면, 2025년 경제성 물고.. |
동로면 새마을회, 오미자축제 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