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년 ‘찾아가는 아리랑학교’ 총 5회, 성공적 마무리
멀지 않아 전 국민이 애창하는 ‘문경새재아리랑’를 꿈꾸며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23년 11월 13일(월) 08:49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지난 11월 4일 가은읍 소재 ‘문경에코월드’에서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위원장: 이만유)’가 주관한 금년도 마지막 다섯 번째 ‘찾아가는 아리랑학교’가 대미를 장식했다.
아리랑은 누구에게나 사랑받고 애창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정민요이다. 한겨레아리랑연합회 김연갑 이사장은“아리랑은 하나이면서 여럿이고, 같으면서 다르고, 옛것이면서 오늘의 것이며, 나의 노래이면서 너의 노래라고 말하며, 우리 삶 속 희로애락에 따라 때로는 신명풀이로 또는 한풀이로 부르는 노래다.”라고 했다.
그리고 김영임 국악인은“아리랑은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 담고 있다. 아리랑 첫 소절만 불러도, 절절한 선율이 가슴을 툭 치고, 대한민국 네 글자가 떠오른다.”라고 했다. 이렇듯 아리랑은 우리 한민족(韓民族) 가슴과 DNA에 스며있는 우리의 노래다.
이런 아리랑이 ‘2012년 아리랑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신청할 때 ‘50여 종’이었지만, 그 이후 새로 찾고 생겨 지금은 100여 종에 이른다. 그중에 ‘문경새재아리랑’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면서 정선, 진도, 밀양 등 유명 아리랑에 비해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왜? 무엇 때문에?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문경새재아리랑’의 보급과 확산이 미흡했다. 늦었지만, 우리 아리랑을 널리 알리고 부르게 하도록 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가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이고, 추진사업이 4년 차 이어온 ‘찾아가는 아리랑학교’이다.
문경새재에 물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가네
홍두깨 방망이는 팔자가 좋아/ 큰애기 손길로 놀아나네
문경새재를 넘어갈제/ 굽이야 굽이굽이가 눈물이나네
< 후렴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문경새재아리랑의 유래가 ‘나이 사십이 되도록 장가 못 간 노총각이 불렀던 한탄의 노래’이든, ‘문경새재 물박달나무가 대 베어져 나가는 반감과 상실감에서 부르는 노래’이든, 아니면 ‘160여 년 전 경복궁을 중수할 때 부역 나온 장정들이 부모 처자와 이별하고 그리움에 불렀던 아리랑(我離娘)’이든, ‘원납전(願納錢) 내라는 소리에 차라리 귀가 먹기를 바라는 아이롱설(我耳聾說)’이든 조선 사람들은 모이면 아리랑을 불렀다. 그것도 ‘문경새재’와 ‘물박달’이란 말이 들어있는 아리랑을 불렀다.
아리랑은 가사나 박자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부르는 사람의 생각과 감정과 처지가 곧 아리랑이 된다. 그래서 미국인 선교사 헐버트는 조선인은‘즉흥곡의 명수'라며 놀라워했고 “아리랑은 한국인들에게 쌀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세종대왕께서도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요, 밥(쌀)이 곧 백성의 하늘이다.” 이라 했었다. 이렇듯 쌀이 한국인의 육신을 지켜주었듯이 아리랑(정신적 쌀)을 통해 역사 속에서 고난과 애환을 버텨왔고 얼을 이어온 것이 곧 아리랑인 것이다.
올해 ‘찾아가는 아리랑학교’는 총 5회, 921명이 참석하였다. 이분들은 단순 관광객을 넘어 문경새재아리랑을 전파 확산하는 전도사이면서 홍보대사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한 가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 것은 ‘디아스포라’의 아픔을 가슴에 품고 살아오신 경기도 양주시 율정마을‘사할린동포회’를 찾아가 함께 아리랑을 부른 것이다. 그때 모두 가슴 벅찼고 먼 길이었지만,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의미 있는 만남이었다.
2024년 내년에는 울릉도와 독도에 가서 ‘독도는 한국 땅’이란 깃발 아래 아리랑을 부르기 위해 ‘찾아가는 아리랑학교’를 개최하기로 기획하였는데 아도위 40여 명의 회원은 그날이 오기를 기다리며 벌써 가슴 부푼 나날을 보내고 있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문경시,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 .. |
문경시, ‘2025 가은읍 도시.. |
문경시장학회 장학금 기탁행렬 이.. |
문경 실내테니스 경기장 기공식 .. |
동로면 두클럽, 버스 승강장 환.. |
동로면 주민자치위원회, ‘한 여.. |
이선희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장.. |
다양한 생물 탐험! 충북 아쿠아.. |
문경 동성초, 학생자치회가 만드.. |
2025년 문경교육지원청 Wee.. |
문경시재향군인회 청년단 발대식 .. |
문경소방서, 리튬이온 배터리 화.. |
문경소방서, 시도교류 전입자 임.. |
문경에 ‘피클볼’하러 오세요. .. |
경북교육청, 이주배경학생에게 따.. |
천년 신라의 향기! 세계속으로.. |
제3회 문경트롯가요제, 예선부터.. |
생활개선문경시연합회 농촌 가정 .. |
문경시, 직원 대상 생성형 AI.. |
달.. |
경북도-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 |
공무원연금공단, ‘한라봉(한여름.. |
문경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자.. |
정청래 대표, 599일째 고공농.. |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 20.. |
문경시 육아종합지원센터,‘커다란.. |
이별 아리에타.. |
나만의 향기를 담다, 룸 스프레.. |
점촌도서관, 지역 어린이들에게 .. |
출렁다리 학교 / 김병중.. |
점촌4동 도시재생사업, 주민들과.. |
문경시 파크골프협회, 파크골프장.. |
2025 선행교육 예방 및 점검.. |
문화산업고위급대화 대표단, 경북.. |
문경시립도서관, 9월 독서의 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