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평]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농산어촌만 소선거구제 유지 반대, 지역주의 타파와 지역소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23년 05월 19일(금) 17:56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국회 정치개혁 특별위원회는 지난 17일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조사 시민참여단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 정치에 대한 불신과 비판이 비등한 마당에 이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국회 정개특위의 시도를 높이 평가하지만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숙의토론회에 참여한 만 18세 이상 남녀 469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 84%가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구와 비례대표 비율에 대해 숙의 전에는 지역구 의석을 늘리는 의견(46%)이 많았으나 숙의 후에는 비례대표 의석수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국회의원 정수에 대한 질문에는 국회의원 수를 줄이자는 의견이 숙의 전 65%에 비해 숙의를 마친 후에는 37%에 그쳐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현행 숫자를 유지하자는 의견(29%)과 오히려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33%)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서도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숙의 전(14%)보다 숙의 후(24%)에 증가했으며, 연동비율을 확대하자는 의견도 숙의 전(14%)보다 숙의 후(28%)에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여러 선거구를 합해 세 명 이상의 국회의원을 선출하고 농산어촌은 한 선거구에 한명을 선출하는 도농복합형 선거구제를 찬성하는 비율이 숙의 전(48%)보다 숙의 후(59%)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지역의 경우 사실상 현행 소선거구제로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은 그동안 지역소멸에 대응하고 유권자들의 정치적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우리 경북을 포함한 농산어촌지역도 중대선거구제를 실시할 것을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또 지역주의타파와 지역소멸대응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요구다.
이번 선거제 개편에 우선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과제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우리 사회에 해결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음에도 정치가 제 기능을 못하고 국민들의 원성이 날로 커져가는 이때 이번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국민적 합의로 이어져 지역주의가 완화되고 농산어촌지역이 살아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좀 더 숙의해 줄 것을 요청한다.
2023년 5월 19일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천년 신라의 향기! 세계속으로.. |
제3회 문경트롯가요제, 예선부터.. |
생활개선문경시연합회 농촌 가정 .. |
문경시, 직원 대상 생성형 AI.. |
달.. |
경북도-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 |
공무원연금공단, ‘한라봉(한여름.. |
문경시가족센터, 다문화가족 자.. |
정청래 대표, 599일째 고공농.. |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 20.. |
문경시 육아종합지원센터,‘커다란.. |
이별 아리에타.. |
나만의 향기를 담다, 룸 스프레.. |
점촌도서관, 지역 어린이들에게 .. |
출렁다리 학교 / 김병중.. |
점촌4동 도시재생사업, 주민들과.. |
문경시 파크골프협회, 파크골프장.. |
2025 선행교육 예방 및 점검.. |
문화산업고위급대화 대표단, 경북.. |
문경시립도서관, 9월 독서의 달.. |
문경시, 문경사랑 상품권 할인율.. |
문경시 직장·공장새마을협의회, .. |
문경시, 토지분할 허가 15일을.. |
문경관광공사, ‘E-웨이스트 제.. |
월악산국립공원 가을철 탐방로 예.. |
문경시종합사회복지관 노인맞춤돌봄.. |
성남시의회 의원 문경시의회 방문.. |
문경경찰서, 개학기 제동장치 없.. |
“음악적 성공이 배움의 에너지가.. |
‘백문불여일견’ 문경미래교육, ..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2025.. |
‘코리안 데이즈 앳 테르메’에서.. |
문경시 청년센터, 2025년 후.. |
문경미래교육지구 실무위원회, 우.. |
점촌1동 새마을회, 충혼탑 공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