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 ‘점촌사람’ 발간!
10일자로 점촌1동, 2동에서 살아온 7명의 이야기 ‘무지개로 뜬 일곱 개의 이야기, '점촌사람’ 발간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21년 12월 19일(일) 14:22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센터장 박정호)는 문경시내 도시재생구역인 점촌1동, 2동에서 살아온 7명의 이야기 ‘무지개로 뜬 일곱 개의 이야기, '점촌사람’을 10일자로 펴냈다.
문경으로 귀촌해 함창에서 ‘카페 버스정류장’을 운영하고 있는 박계해 작가가 이 지역에서 생계를 꾸려온 서울포목 채희경, 천생 공무원 김학모, 서울문구사 박종기, 진미순대 김우홍, 시민건어물 최원현, 시장기름집 정명수, 어울림마당 고추할매 김재릉의 이야기를 180여 쪽으로 엮은 것이다.
소위 꼰대로 불리는 세대들의 이야기를 젊은 사람들이 충고나 훈계로 듣지 않고, 잔소리로 듣는 시대에 그 충고가 사라져서는 안 될 정신적 유물이라는 지점에 방점을 찍고 만든 책이다.
꼰대짓 하지 말고 “그냥 그랬노라”는 이야기를 말 대신 글로 남기자는 의도다.
지난 1925년 경북선 철로가 놓이고, 문경에 탄광이 개발되면서 탄광 배후 도시이면서 석탄을 실어내는 철도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한 점촌은 지난 1949년 문경군청이 문경면에서 이전해 오고, 지난 1956년 읍으로 승격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 지난 1986년 인근 고도(古都) 상주와 함께 시로 승격해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지난 1990년대 들어서서 폐광과 함께 급격하게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시청, 경찰서 등 관공서가 모전동으로 이전하고, 신도심이 이전되면서 점촌1, 2동 구도심은 쇠퇴기에 접어들어 ‘도시재생구역’이 됐다.
이에 따라 문경시는 구도심인 점촌1, 2동에 대대적인 도시재생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신흥도시로서 전통이 부족한 점촌의 문화를 기록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진행했다.
박계해 작가는 “돈달산 기슭에 토기와 기와를 굽는 장인들이 모여 살고, 가게가 많이 들어서면서 점촌이라는 지명을 얻었다는 지명 유래를 듣고, 전통시장과 시내 곳곳을 돌아보니, 점촌도 결코 그 역사가 짧지 않았다”며, “읍으로 승격하고 70년이 지나는 시점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하니 그것이 점촌의 역사요, 문화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화합과 치유의 무대, 제63회 .. |
놀이로 배우는 하루, 즐거운 체.. |
공감력 UP 지역연계 학교예술교.. |
함께 걸으며 따뜻한 정을 나눠요.. |
문경시가족센터, 결혼이민자·외국.. |
조선요 문산김영식 사기장 '동양.. |
스승의 날 맞아‘상주문경장학회’.. |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문경찻사발.. |
나 그네.. |
경북도, 국정과제에 반영할 저출.. |
2025 공연예술 지역 유통지원.. |
문경새재관리사무소, 푸드부스 1.. |
문경시, 농촌공간 미래 그린다!.. |
익명의 독지가, 영순면 후원금 .. |
영순면새마을회, 농약빈병 및 헌.. |
문경경찰서, 관리자 대상 성희롱.. |
농식품 유통 새바람 ‘농식품유통.. |
오늘은 내가 동화 속 주인공..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어제의 꿈! 오늘의 탐구! .. |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반드.. |
더불어민주당 경북, 대선 출정식.. |
경북교육청, 경북형 늘봄학교 운.. |
「2025 문경찻사발축제」새로운.. |
문경시, 트롯 유망주‘이재희’,.. |
추미애 골목 총괄선대위원장, 지..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온기종기.. |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 |
낙동강 환경·시민활동가 1,30.. |
문경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 |
문경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5월.. |
산양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 |
찾아가는 인허가 서비스 시행.. |
㈜에이치디설비기술단, 문경시장학..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