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8-17 오전 10:53:2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결혼/돌
부고안내
 
뉴스 > 시와 문학이 있는 새재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정재호 시조시인·수필가
지난 2006년 12월 김석태 시인에게 보낸 우편엽서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입력 : 2021년 08월 18일(수) 11:27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 故 정재호 시조시인·수필가 선생님
ⓒ 문경시민신문
정재호 시조시인·수필가 선생님께서 지난 2006년 12월 김석태 시인에게 보낸 우편 엽서를 김 시인이 읽기 시작하는 '리더스다이제스터 성서'의 책갈피에서 발견하고, 그 내용에 감동하여 정재호 선생님을 되새기려 한다.

민주화 운동을 해온 김석태 시인은 지난 2003년 나라가 민주화가 되고 난 후 지방자치가 시행돼 자유민주주의가 만화방창하는 때에 어이없게도 민주화의 상징인 집권당에 입당한 시장이 시민 여론과는 반하는 독선행정을 감행하자, 김 시인은 이에 반발해 시민단체의 지도자로서 역할을 다하며 3년이란 긴 투쟁을 이어가다 독선 시장이 재선에 실패하고 새로운 시장이 당선되는 날 구속되고 만다.

↑↑ 정재호 선생님이 보내온 엽서 앞면
ⓒ 문경시민신문
구속 3개월여 간의 재판을 거쳐 풀려났지만, 그동안의 여정을 '에밀졸라이고 싶었다'란 책으로 내어 정재호 선생님에게 증정했었고, 백화문학에 옥중 시를 소시집 형태로 실었다. 이를 읽고 김석태 시인의 입장을 알게 된 정재호 선생님께서 김 시인에게 우편 엽서를 보내왔다.

↑↑ 정재호 선생님이 보내온 엽서 내용
ⓒ 문경시민신문
그동안 잊고 지내다가 15년이 지난 지금 그 엽서를 소중한 성서의 책갈피에서 발견하고 정재호 선생님을 간절히 그리워하며 엽서와 선생님의 약력과 미래를 바라보는 시 한 편을 소개한다.

거리 / 정 재 호​

나무와 나무
사람과 사람 사이​

더 멀어져서도 안되고
더 가까워져서도 안 되는
하늘이 정해준 거리​

거리를 좁히면
가슴이 답답하고
거리를 띄우면
가슴이 허전하다​

가까이서 보면
안 보이던 것도​

멀리서 보면
잘 보인다 ​

부부는 적당한
거리를 지키며 살아가는
두 그루 은행나무

정재호(鄭在琥 1929.8.2. 출생) 시조시인·수필가

경북 상주군 내서면 출생. 국민대학을 거쳐 영남대학 대학원 1년 연구. 계명대학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석사. 196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제3악장>이 당선, 데뷔. 상주고교, 함창고교, 원화여고 교사 등 역임.

【작품】<제3악장>(1964) <불효(不孝)의 변(辯)>(현대문학.1965.3) <소매치기의 도(道)>(현대문학.1965.7) <종(鐘)>(시조문학 13.1966.4) <그네>(시문학 17.1966.8) <해인사 기행초(紀行抄)>(시조문학 14.1966.9) <시계>(문학춘추.1966.9) <백령도>(현대문학.1966.11) <여자의 행복>(세대.1967.1) <단상이제(斷想二題)>(시조문학 15.1967.2) <잡초>(시조문학 16.1967.6) <유방(乳房):조국에 바치는 노래>(시조문학 19.1968.8) <영춘사(迎春詞)>(현대문학.1969.1) <모래>(신동아 58.1969.6) <달력>(현대문학.1970.1) <원앙침(鴛鴦枕)>(현대시학.1970.4) <일차원공식(一次元公式)>(월간문학.1970.8) <남장사(南長寺)>(시조문학 26.1970.11) <이차원공식(二次元公式)>(현대문학.1970.12) <청소차>(월간문학.1971.4) <발아(發芽)>(시조문학 27.1971.6) <작업>(현대시학.1971.7) <난로>(시문학 3.1971.10) <자화상>(새시대문학 11.1972.1) <발성연습>(현대시학.1972.12) <낚시꾼>(시문학 17.1972.12) <악수>(풀과별 8.1973.2) <석수(石手)>(시문학 27.1973.<철새>(시문학 33.1974.4) <훙수>(월간문학 64.1974.6) <플라타너스>(현대문학 234.1974.6) <운동화(運動靴)>(현대문학 239.1974.11) <빛>(시조문학 34.1975.2) <소나무>(현대문학 245.1975.5) <멍에>(월간문학 80.1975.10) <소나기>(시문학 54.1976.1) <아오자이>(현대문학 249.1975.9) <불빛>(시조문학 7.1977.7) <백령도> <그네> <목련> <마당> <낚시꾼> <짚신>

【시집】<모과>(1969) <정재호 제3시집>(현대문학사.1975) <바람의 회항(回港)>(둥지.1991) <천치가 부르는 노래>(대일.1993) <들국 향이고 건너는 세상>(새봄.2000)

【시조집】<제3악장>(국제문화사.1966) <바람 속에서 피는 꽃>(그루.1991)

【수필집】<문구멍으로 본 인생>(한글문학사.1967) <세월이 남기고 간 자국>(1968) <도시에 나온 촌닭>(그루.1987) <한꺼풀 벗기고 본 세상>(그루.1994) <새천년 시벽의 초대>(책만드는사람들.1999) <이런 사람 저런 사람>(대일.1997) <그대에게 드리는 선물>(그루.2002)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폭염속 모전천 데크 길 청소 하..
문경시 ㈜다미(김선식 대표), ..
기고문 오리무중, ‘바위 각자..
국내 최대 미술관 순회 프로젝트..
개구리밥..
애뜻한 가정을 보듬어주는' 한가..
문경차사랑회 창립총회 개최..
오감만족 2025 문경새재 맨발..
경상북도 무형유산 사기장 이학천..
경북교육청, 경주·문경 교육발전..
최신뉴스
문경 점촌역 광장에서 8.15광..  
경북도, 제3회 추가경정 예산 ..  
문경소방서 의용소방대, 충남 서..  
경북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  
경북교육청, 2025. 9. 1..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문경지..  
2025학년도 특수교육 지원인력..  
호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  
영순면 새마을회, 여름맞이 제초..  
문경시 지역아동센터 아동화합한마..  
‘어르신 스포츠 시설 이용료 지..  
문경경찰서, 제2차 선도심사위원..  
문경차사랑회 창립총회 개최..  
점촌 중앙로타리클럽, “주거환경..  
문경시립모전도서관, 원어민과 함..  
문경오미자축제 미각체험관 부스 ..  
문경시보건소, 스텝박스 운동 교..  
‘요리쿡 조리쿡 건강 간식 만들..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 문경시에..  
문경시청육상단 한국신기록 제조기..  
문경시, ‘2025 인구주택총조..  
문경시, 찾아가는 지적 민원 현..  
개구리밥..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복(福)..  
문경시의회, 경남 산청군 수해피..  
경북교육청, 광복 80주년 기념..  
경북도, 새정부‘국민보고대회’대..  
임이자 기재위원장 · 조지연 국..  
문경대학교 거버넌스협력센터, 인..  
문경교육지원청 학생맞춤통합지원 ..  
문경시 ㈜다미(김선식 대표), ..  
경북교육청, “유아교육진흥원 전..  
문경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검정고..  
오감만족 2025 문경새재 맨발..  

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문경시민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1-81-08345/ 주소: 문경시 마성면 신현1길 20번지 / 등록일 : 2013년4월29일 / 발행인.편집인: 김정태
mail: ctn6333@daum.net / Tel: 054-553-8118 / Fax : 054-553-216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61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태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