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천 주변에서 청동기시대 대형 고인돌, 성혈(性穴) 발견
북두칠성 별자리 성혈, 남근석(男根石)으로 추정되는 돌도 발견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20년 04월 02일(목) 16:18
공유 :   
|
|  | | ↑↑ 북두칠성 성혈 | ⓒ 문경시민신문 | | 지난달 말, 전 문경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 이만유는 우연한 기회에 낙동강 상류 문경시 금천 주변에 기원전 1,000년 무렵에 존재했던 청동기시대 유적인 대형 고인돌(支石墓)과 성혈(性穴=홈구멍=알구멍, cup-mark)을 발견하였다. 지난 2012년에 이어 두 번째다.
청대 권상일 선생께서 경영한 청대구곡 제6곡 구잔(溝棧)과 제8곡 성암(筬岩) 인근인 문경시 산양면 신전리와 영순면 왕태리 경계지역과 산양면 소재지 옆 금천 강변에 있는 대형 고인돌과 성혈은 규모가 상당한 것으로 보아 부족장의 무덤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형 고인돌 1'의 규모는 높이 265cm, 폭 685cm, 둘레 1,610cm이며, 바위는 총 7개이고 크게 두 부분으로 갈라져 있는데, 동쪽은 3개, 서쪽은 4개로 분리되어 있다. 그 외 아랫부분에 기단석 또는 지지석(支持石)으로 보이는 것들이 함께 있다. 성혈은 긴 세월 동안 풍화되고 이끼가 두껍게 껴 분별하기가 어려웠지만, 39개가 새겨져 있었으며 성혈의 크기는 다양하지만 가장 큰 것은 직경 10cm, 깊이 6cm였다.
|  | | ↑↑ 남근석 | ⓒ 문경시민신문 | | 흥미로운 것은 '대형 고인돌 1' 아래에서 남근 모양의 돌을 발견하였다. 만약 이 남근석이 성혈(알구멍)과 한 세트라면 성혈이 무엇을 의미한가에 대해 지금까지 태양, 별자리, 여성의 성기, 알, 구멍 등으로 논란이 있었는데, 이 남근석이 기자신앙(祈子信仰)으로 여성의 성기와 남근이 결합하여 있는 오래된 유물이라 판명된다면 이것은 세계적인 대 발견이 될 것이다.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앙적 의식의 표현물로 성혈이 만들어졌다"는 것이 정설이 되어 이미 분분했던 학계의 논란을 잠재우는 획기적인 사건이 될 수도 있다. 남근석의 크기는 길이 18cm, 직경 4.5cm(좁은 쪽 3cm), 둘레 13cm이다.
|  | | ↑↑ 대형 고인돌 | ⓒ 문경시민신문 | | 또 하나의 특징은 '대형 고인돌 1'이 오랜 세월을 보내면서 처음 만들 때 큰 바위가 하나이든 것이 여러 개로 갈라진 것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7개의 바위로 만들어진 것인지가 궁금하든 차에 바위와 바위 틈새에 쐐기돌이 보였다. 그렇다면 3단 구조의 아주 특별하게 조형된 고인돌이 된다. 만약 정밀 조사 후 사실로 판명되면 또 하나의 유명 고인돌, 연구대상이 되는 고인돌이 될 것이다.
|  | | ↑↑ 쐐기돌 | ⓒ 문경시민신문 | | '대형 고인돌 2'는 '대형 고인돌 1'에서 20m 떨어진 곳에 있는데 기록이 없는 선사시대 유물이라 알 길은 없지만, 족장의 부인 무덤이 아닐까 추정된다. 규모는 높이 213cm, 폭 388m, 둘레 1,357cm이며 크고 작은 바위는 총 7개(대형 2개, 소형 5개)이고 무너진 상태로 흩어져 있으며 그외 아랫부분에 지지석으로 보이는 바윗돌이 함께 있다. 성혈은 3개가 새겨져 있으며 확실한 모양을 갖춘 1개의 크기는 직경 8cm, 깊이 3cm였고, 2개는 풍화로 마멸된 성혈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모호하다.
'형 고인돌 3' 제방 공사를 할 때 일부가 묻힌 상태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높이 232cm, 폭 850cm(긴 쪽)의, 둘레 1,850cm의 큰 바위(고인돌)에도 성혈이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런데 놀랍게도 성혈이 별자리라는 주장을 하는 학자들이 있었는데,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는 듯 북두칠성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다. 이렇듯 제대로 모양을 갖춘 북두칠성 별자리 성혈은 아주 희귀한 것이 아닐까 싶다. 성혈 숫자는 26여 개였으며 가장 큰 성혈은 직경 9cm, 깊이 3.5cm였다.
그리고 국파(菊坡) 전원발(全元發) 선생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된 청원정(淸遠亭)과 소천서원(蘇川書院)이 자리하고 있는 곳이 청대구곡 제9곡인 소호(蘇湖)인데, 지난해 겨울에도 거기에 지석묘의 덮개돌로 추정되는 성혈이 새겨진 알바위가 있었는데, 금천생태복원사업으로 제방 공사를 하면서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발견자는 "금천 42.85km 중에 산양면 현리에서부터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까지 성혈이 분포된 사실을 근거로 금천은 선사시대 청동기인들의 거대집단의 광범위 거주지로 역사적 가치가 높은 선사유적지이며, 문화관광 자원이 될 수 있음으로 고고학적으로 본격적 발굴 및 학술적인 규명이 뒤따라야 하겠다"고 하였다.
"이미 발견된 소중한 청동기 유적에 대한 훼손을 막는 보호 대책과 안내판 등을 설치하고 무너진 채로 있는 고인돌도 본래의 형태로 복원하여 문화재지정 및 관광 자원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라진 소천서원(蘇川書院) 옆 강변에 있었던 성혈석을 되찾아 원래 있던 자리에 놓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경북도, 국정과제에 반영할 저출.. |
2025 공연예술 지역 유통지원.. |
문경새재관리사무소, 푸드부스 1.. |
문경시, 농촌공간 미래 그린다!.. |
익명의 독지가, 영순면 후원금 .. |
영순면새마을회, 농약빈병 및 헌.. |
문경경찰서, 관리자 대상 성희롱.. |
농식품 유통 새바람 ‘농식품유통.. |
오늘은 내가 동화 속 주인공..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어제의 꿈! 오늘의 탐구! .. |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반드.. |
더불어민주당 경북, 대선 출정식.. |
경북교육청, 경북형 늘봄학교 운.. |
「2025 문경찻사발축제」새로운.. |
문경시, 트롯 유망주‘이재희’,.. |
추미애 골목 총괄선대위원장, 지..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온기종기.. |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 |
낙동강 환경·시민활동가 1,30.. |
문경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 |
문경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5월.. |
산양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 |
찾아가는 인허가 서비스 시행.. |
㈜에이치디설비기술단, 문경시장학.. |
2025년 제1회 초·중·고등 .. |
신현국 문경시장 4대 문화운동 ..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주택화재로 피해를 입은 장애인 .. |
공무원연금공단, 연금수급자와의 .. |
“상주여자고등학교 의정 체험 한.. |
경상북도, 글로벌 선도테크 기업.. |
성교육! 인형극으로 재밌게 배우.. |
문경여자중학교, 충효 주간 세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