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경문화원 아리랑학교 수강생 30여 명 현장 학습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을 찾다.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8년 04월 27일(금) 12:44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문경문화원(원장 현한근) 아리랑학교 수강생 30여 명은 26일 강원도 정선군을 찾아 정선아리랑을 살펴보는 현장 학습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현장 학습은 정선아리랑의 기원으로 일컬어지는 칠현사를 먼저 견학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칠현사는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있는 사우(祠宇)로 전오륜(全五倫), 신안(申晏), 김충한(金沖漢), 고천우(高天祐), 이수생(李遂生), 변귀수(邊貴壽), 김위(金瑋) 등 칠현(七賢)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조선 개국 이후 고려왕조를 섬기던 선비들 가운데 몇 명은 송도에서 정선으로 옮겨와 남면 낙동리에 은거하였다. 이들은 산나물을 뜯어먹으며 불사이군(不事二君)으로 충성을 다짐하였는데, 그 충의(忠義)를 기리기 위해 마을 이름을 거칠현동(居七賢洞)이라 부르고 칠현사를 지어 이들을 배향하였다.
이들은 당시 고려왕조에 대한 흠모와 두고 온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외롭고 고달픈 심정 등을 한시로 지어 읊었는데, 뒤에 세인(世人)들이 이를 풀이하여 부른 것이 「정선아리랑」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점심 식사 후 정선아리랑전수관을 찾아 인근의 아우라지강을 둘러 본 일행은 전수관에서 정선아리랑 예능보유자인 김길자 선생으로부터 1시간 동안 정선아리랑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아리랑전수관에서 일정을 마친 일행은 아쉬움을 뒤로 하고 문경으로 돌아 왔다. 현장 학습에 동참한 아리랑도시 시민위원회 이만유 위원장은 “문경새재아리랑의 저변 확대에 큰 도움이 되는 귀중한 현장 학습시간이었다”고 말했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문경경찰서, 관리자 대상 성희롱.. |
농식품 유통 새바람 ‘농식품유통.. |
오늘은 내가 동화 속 주인공..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어제의 꿈! 오늘의 탐구! .. |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반드.. |
더불어민주당 경북, 대선 출정식.. |
경북교육청, 경북형 늘봄학교 운.. |
「2025 문경찻사발축제」새로운.. |
문경시, 트롯 유망주‘이재희’,.. |
추미애 골목 총괄선대위원장, 지..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온기종기.. |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 |
낙동강 환경·시민활동가 1,30.. |
문경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 |
문경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5월.. |
산양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 |
찾아가는 인허가 서비스 시행.. |
㈜에이치디설비기술단, 문경시장학.. |
2025년 제1회 초·중·고등 .. |
신현국 문경시장 4대 문화운동 ..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주택화재로 피해를 입은 장애인 .. |
공무원연금공단, 연금수급자와의 .. |
“상주여자고등학교 의정 체험 한.. |
경상북도, 글로벌 선도테크 기업.. |
성교육! 인형극으로 재밌게 배우.. |
문경여자중학교, 충효 주간 세대.. |
문경공업고 제103회 동아일보기.. |
문경기초학력거점지원센터 학습코칭.. |
어버이날 어르신들과 함께하는 세.. |
따뜻한 미래로 나아가는 어울림 .. |
관음공덕회, ‘사랑의 효도화 달.. |
제63회 경북도민체육대회, 김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