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1 오후 04:21:4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결혼/돌
부고안내
 
뉴스 > 오피니언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조재석의 사회적경제 칼럼(1)] 문재인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사회적경제
글 / 조재석 K-Coop(한국사회적경제협동조합) 교수 겸 이사장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입력 : 2017년 10월 30일(월) 21:34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 문경시민신문
'문재인 정부가 국정운영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로드맵은 5대 분야, 10대 중점 과제, 100대 정책 과제로 구성됐다. 5대 중점과제로는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구축 △일자리 안전망 강화 및 산업수요에 맞는 인력양성 시스템 △공공일자리 81만명 확충 △혁신형 창업 촉진 △산업경쟁력 제고 및 신산업·서비스업 육성 △사회적경제 활성화 △지역 일자리 확충 △비정규직 남용 방지 및 차별 없는 일터 조성 △근로여건 개선 △청년·여성·신중년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이다. 과제별로 5~19개씩 모두 100개 정책과제가 선정됐다.

정부와 청와대는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을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여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2017년 하반기부터 공공기관과 공기업에 대한 일자리 업무평가를 20점으로 하고 분기별 점검을 한다. 정부정책의 화두는 일자리경제체계 운용이고, 핵심은 '사회적경제'가 일자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국민의식은 긍정적인 반응과 실효성에 대한 의견이 서로 비등하다.

'사회적경제'의 봄이 언제 오려나 학수고대(鶴首苦待)했던 필자의 우려는 차치하고, 관심이 뜨겁다 못해 한 여름 햇볕에 노출된 자동차 보닛(bonnet)처럼 데일 정도이다.

'사회적경제'는 사유재산을 옹호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배려(도덕)의 경제를 강조한 이상주의자 애덤스미스(1723~1790년), 계급과 계층의 완화를 주장하고 소생산자들의 자유로운 연합의 미래사회를 꿈꾸었던 혁명가 카를 마르크스(1818~1883년), 유효수요 창출을 경제정책의 중심으로 옮겨 놓고 복지사회 건설을 희망한 케인즈(1883~1946년), 사회혁신의 창조적 파괴를 가능하게 하는 기업가 정신을 믿었던 슘페터(1883~1950년), 사람은 진리를 통해 자유로워지고, 자유를 유지할 '공동체적 사회'를 건설함으로써 영원히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다원적 경제발전 모델'을 제시한 칼 폴라니(1886~1964년) 등 위대한 철학자, 사상가, 경제학자들의 이론과 250여 년의 실천적 경험을 축적해 왔다.

시장경제가 고도화되면서 피폐해진 개인과 공동체와 자본주의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 넣어야 하는데 그 대안은 사회적경제 밖에 없다. '사회적경제'는 사회적 목적과 민주적 운영 원리를 가진 호혜적 경제 활동 조직의 집합체로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을 통칭한다.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나타난 경제적 불평등이나 환경오염 등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자본주의의 장점을 살리면서 경제민주화, 사람, 분배, 환경보호 등의 가치를 중심에 두는 특징이 있다. 목표는 '배제된' 욕구와 생산능력을 이어주고, 사람은 돈으로만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라는 사회적 동기로 공동체기업을 조직‧운영하는 것이다. '나'로 사는 것으로부터 '우리'(공동체)로 사는 사람으로 가치관과 행동양식과 삶의 방식이 변하는 것이다.

경제의 결핍을 어떻게 공감하고, 풍요로움을 누가 공유하도록 유도할 것인지가 미래 사회의 화두이다. 천만다행으로 문재인정부가 들어서면서 잘못된 국가경영에서의 불편부당한 적폐들을 청산하고, 새로운 경제 시스템과 환경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경제 환경과 성공은 100m 달리기가 아니라 42.195㎞를 달려야 하는 긴 여정이고, 긴 호흡으로 바라보고 기다려줘야 하는 영역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2025 문경찻사발축제, 성대한..
「2025 문경찻사발축제」황금 ..
부처님께 간절히 청원 드리옵니다..
새재포럼 ‘문경 역사의 미’라는..
마성신현1리 새사모(새원을사랑하..
문경시, 2025년 건물번호판 ..
2025 문경찻사발축제 주요행사..
신현국 문경시장,‘중앙공원 정비..
닭치고 노쇼(No Show)? ..
최신뉴스
추미애 골목 총괄선대위원장, 지..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온기종기..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  
낙동강 환경·시민활동가 1,30..  
문경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  
문경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5월..  
산양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  
찾아가는 인허가 서비스 시행..  
㈜에이치디설비기술단, 문경시장학..  
2025년 제1회 초·중·고등 ..  
신현국 문경시장 4대 문화운동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주택화재로 피해를 입은 장애인 ..  
공무원연금공단, 연금수급자와의 ..  
“상주여자고등학교 의정 체험 한..  
경상북도, 글로벌 선도테크 기업..  
성교육! 인형극으로 재밌게 배우..  
문경여자중학교, 충효 주간 세대..  
문경공업고 제103회 동아일보기..  
문경기초학력거점지원센터 학습코칭..  
어버이날 어르신들과 함께하는 세..  
따뜻한 미래로 나아가는 어울림 ..  
관음공덕회, ‘사랑의 효도화 달..  
제63회 경북도민체육대회, 김천..  
책과 예술이 만나는 ‘동화책 콘..  
안동유림 50여명 이재명 지지 ..  
점촌2동 생활개선회 영신어린이공..  
농암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아동·..  
3년째 이어지는 따뜻한 한 그릇..  
영순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이..  
문경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 파크골프..  
마성신현1리 새사모(새원을사랑하..  
응급의료개선을 위한 지역응급의료..  

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문경시민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1-81-08345/ 주소: 문경시 마성면 신현1길 20번지 / 등록일 : 2013년4월29일 / 발행인.편집인: 김정태
mail: ctn6333@daum.net / Tel: 054-553-8118 / Fax : 054-553-216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61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태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