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 등 문화재 지정
도내 문화유산의 지속적 발굴로 문화위상 제고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7년 08월 28일(월) 14:33
공유 :   
|
|  | | ↑↑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 | ⓒ 문경시민신문 | | 경상북도는 최근 문화재위원회(동산분과 제2차 회의)를 열어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비롯한 5건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4건)와 문화재자료(1건)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유형문화재로 지정 결정한 4건의 내역을 살펴보면, ▲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극락보전 수미단 위에 모셔진 3구의 불상으로 중앙에는 아미타여래좌상, 왼쪽에는 관세음보살좌상,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좌상이 협시(挾侍)하고 있다.
180∼190㎝에 달하는 중형의 불상으로서 조성발원문은 확인할 수 없지만, ‘북장사사적기(北長寺事蹟記)’를 통해 1676년(숙종 2)이라는 제작시기가 확인된다. 작품의 완성도가 높고 손상된 곳이 거의 없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명부전에 모셔진 24구의 목조상으로 중앙의 지장삼존을 비롯해 좌우에는 10구의 시왕상(十王像), 귀왕(鬼王 2구), 판관(判官 2구), 사자(使者 2구)의 순서로 배치돼 있다. 또한, 금강역사(2구)는 입구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3구의 동자상은 직지성보박물관에 따로 보관돼 있다.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89년이라는 제작시기와 지현(智玄)을 비롯한 8명의 조각승이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작품의 완성도가 높고 24구에 달하는 상(像)이 손상된 곳이 거의 없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은 응진전에 모셔진 석조 16나한과 제석천(帝釋天 2구), 사자(使者 2구), 동자(童子 1구) 등 20구의 불상으로 수조각승 수연(守衍)의 스승인 승호파(勝湖派) 양식에 기반한 조각 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이는 김룡사 대웅전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의해서도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응진전 불상의 조성시기는 1709년이며 조각승 수연 등에 의해 조성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제작연대와 조각가가 밝혀져 있고 18세기 초반 경상북도 지역의 불상 조각상황을 잘 보여주는 지표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 ‘청도 대비사 석조석가불좌상’은 대웅전에 모셔진 높이 125㎝, 무릎폭 75㎝의 불상으로, 조각승 승호(勝湖)가 제작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복장(腹藏)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이는 발원문 필사본이 전해지는데, 이에 의하면 조각승 승호 등 16명이 1683년에 조성해 호거산 대비사에 봉안했음을 알 수 있다.
17세기 후반 경상도 일대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승호 일파에 의해 제작된 전형적인 불상으로서 제작자, 제작시기, 봉안처 등 불상제작과 봉안에 관련된 주요 정보들을 알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크다.
 |  | | ↑↑ ‘문경 김룡사 석불입상’ | ⓒ 문경시민신문 | 문화재자료로 지정 결정한 ▲ ‘문경 김룡사 석불입상’은 돌기둥 모양의 입상으로 입체감이 결여된 민불(民佛) 형태의 석불이다. 수인(手印), 옷주름 등 전신이 매우 낮고 투박한 부조(浮彫)로 조각됐고, 얼굴만 비교적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1725년에 출간된 ‘운봉사사적(雲峰寺事蹟)’에 의하면, 서쪽의 계곡 건너에 위치한 석탑과 함께 풍수사상에 입각해 1709년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 대부분의 민불처럼 투박한 조형성을 특징으로 보이고 있지만, 1709년이라는 제작연대를 알 수 있고 김룡사의 풍수적 약점을 비보(裨補)하려는 목적 등이 사적기에 기록돼 있어 학술적인 가치가 인정된다.
김룡사는 일제강점기 31본산이 시행될 때 8교구의 본사로서 대규모의 사역을 유지했을 뿐 아니라 많은 유적들이 남아 있는 사찰이다.
이번 지정을 통해 김룡사는 보물 2점, 유형 3점, 등록문화재 2점, 문화재자료 1점 등 모두 8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김룡사의 산내 암자인 대성암의 금당과 양진암의 목조관세음보살좌상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로써 문경시의 문화재는 총 91점(국가지정 27점, 도지정 61점, 문경시 보호문화유산 3점)으로 늘었다.
이상과 같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로 지정함으로써 경북의 문화재는 총 2,054점(국가지정 705, 도지정 1,349)이 된다.
경상북도는 문화재위원회에서 ‘포항 보경사 적광전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청도 장연사 소장 묘법연화경’, ‘청도 장연사 소장 정선동래선생박의구해’, ‘청도 도솔사 소장 묘법연화경’ 등 4건을 유형문화재 지정대상으로 선정했다.
또한, ‘상주 조정 문집판목’, ‘경산 반룡사 화문면석 부재’, ‘학발첩 및 전가보첩’등 3건을 문화재자료 지정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에 지정대상으로 선정된 7건의 문화유산은 지정예고 절차를 거쳐 차기 문화재위원회에서 지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김종수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전국 최고․최다의 문화재를 보유한 광역자치단체로서의 위상에 걸 맞는 최상의 보존․관리 시스템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문화유산의 발굴과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도지정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시킴으로써 예산절감과 동시에 지역 문화재의 위상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문경경찰서, 관리자 대상 성희롱.. |
농식품 유통 새바람 ‘농식품유통.. |
오늘은 내가 동화 속 주인공..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어제의 꿈! 오늘의 탐구! .. |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반드.. |
더불어민주당 경북, 대선 출정식.. |
경북교육청, 경북형 늘봄학교 운.. |
「2025 문경찻사발축제」새로운.. |
문경시, 트롯 유망주‘이재희’,.. |
추미애 골목 총괄선대위원장, 지..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온기종기.. |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 |
낙동강 환경·시민활동가 1,30.. |
문경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 |
문경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5월.. |
산양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버.. |
찾아가는 인허가 서비스 시행.. |
㈜에이치디설비기술단, 문경시장학.. |
2025년 제1회 초·중·고등 .. |
신현국 문경시장 4대 문화운동 .. |
아이들의 손으로 피운 효(孝)의.. |
주택화재로 피해를 입은 장애인 .. |
공무원연금공단, 연금수급자와의 .. |
“상주여자고등학교 의정 체험 한.. |
경상북도, 글로벌 선도테크 기업.. |
성교육! 인형극으로 재밌게 배우.. |
문경여자중학교, 충효 주간 세대.. |
문경공업고 제103회 동아일보기.. |
문경기초학력거점지원센터 학습코칭.. |
어버이날 어르신들과 함께하는 세.. |
따뜻한 미래로 나아가는 어울림 .. |
관음공덕회, ‘사랑의 효도화 달.. |
제63회 경북도민체육대회, 김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