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조의 기록과 유고를 묶은 평주세고(平州世稿) 발간
편저자 신후식 작가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7년 08월 02일(수) 15:33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전통사회가 많이 희석되긴 했지만, 전국에 종중을 구성하여 지켜오는 전통이 종가의 활동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많은 종가 가운데 경북에 종가가 다른 지방보다 많아 경북도에서는 의미 있는 정책을 펴 오고 있다. 그런 가운데 평산신씨 우지종중(도유사 신현봉)에서는 신후식이 집필 편집한 평주세고를 이번에 발간하여 보기 드문 사례이다.
평주세고의 평주는 평산의 옛 이름이고 세고는 여러 대의 유고를 모았다는 뜻이다. 1천1백여 년 동안 선조들이 이룬 덕업(德業)을 선양하기 위해 시조인 고려개국 공신 태사 장절공(신숭겸)으로부터 22세(世) 인천 도호부사를 지낸 낙봉공(신숭구)까지는 직계의 선대(先代)유고와 사적만 실었고, 낙봉공의 후손으로서 유고나 실기가 있는 35세까지 돌아가신 분의 유고를 조사하여 196분을 집필 편집했다.
세종 때 좌의정을 지낸 문희공(신개)은 파조인데 왕조실록의 기사만 700쪽이 넘어 이 세고에선 생략하고도 1천 116쪽에 이르는 방대한 기록이다. 한문으로 된 유고는 번역하고 문집은 서문, 목차, 행장, 발문을 번역 해제하고 호(號), 관직, 자(字), 택호(宅號) 등에서 존호(尊號)를 취하여 종, 지파순으로 엮었다.
 |  | | ↑↑ 편저자 신후식 작가 | ⓒ 문경시민신문 | 편저자는 발간사에서 "선조들의 유작(遺作)은 그 분들의 삶의 정수(精髓)이기에 남은 글 한 줄도 고전(古典)일 수밖에 없고 다시 읽어야 하는 고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조가 남긴 고문서 한 장도 금은보화 못하잖게 귀중히 여기는 마음가짐이 필요하고, 오늘은 어제의 내일이고, 내일의 어제라는 말에서 오늘의 의미를 다시 새겨 본다"며, "지난날 역사와 기록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지혜를 발견하고 미래를 구상하여 오늘을 살아갈 힘을 축적하는데 도움이 있길 바란다"고 했다. 후일 더 풍부한 유문(遺文)과 자료를 모아 조손(祖孫)을 이어 줄 더 좋은 책이 출간되기를 희망했다.
전 한국경제사장인 신상민 종손은 축사에서 "선세(先世)의 남은 문적(文蹟)에 선현의 문학과 사상과 철학이 담겼지만, 한문본이라 난관에 봉착했었다. 후손의 혈연 단체인 종중은 숭조위선(崇祖爲先)과 돈목종친(敦睦宗親)과 후손육영(後孫育英)이라는 공동목표를 가졌기에 봉제사하는 것을 넘어 조상의 숭고한 뜻을 찾아 기리는 이 같은 일은 가치 있는 쾌거"라 했다.
전 대구광역시 신상철 교육감은 축사에서 "훌륭한 선조가 있어도 이를 세상에 널리 알리지 않음은 이 또한 불효라고 한 것[父祖有善而 子孫不暴白 則亦不孝也]은 선조의 업적을 현창(顯彰)하는데 등한히 하는 후손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말"이라 했다.
처음으로 발굴 된 여러 유고(遺稿)와 기록들이 선조 한 분 한 분 삶의 단편이고 흔적들로 선지(先志)를 함께 이해하고 전승하는데 꼭 필요한 필독서(必讀書)라고 했다.
신현봉 도유사는 축사에서 "우리 종중은 훌륭하고 탁월한 위업을 성취한 많은 선조님을 모셨는데 그 행적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헌이 없었다. 평주세고의 발간은 오늘을 살아가는 후손들에게 그 의미가 매우 크며 잊혀 가는 선조들의 위업과 훌륭한 삶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후손에게 긍지를 심어줄 것"이라 했다.
이 평주세고에는 오랜 노력 끝에 새롭게 찾은 유문도 여러 편 있으니 장절공신선생실기 증보편, 황의옹실기, 인재선생문집 속집, 동호실기, 장령공실기, 나은실기, 낙봉유고, 평거재실기, 여봉유고 속집, 병옹유고, 이강유고, 사거유고, 침천유고, 하벽유고, 자중유고가 새로 조사된 내용이다.
새로 발굴한 자료에는 족보 등 기존의 기록과 상이한 점도 있어 더 많은 궁구(窮究)가 필요하고 집필, 편집 과정에 인용한 참고 문헌만 292종이고, 선현들과 주고받은 문헌의 수록 저자는 인명색인을 붙였는데 548명에 이른다. / 집필자 신후식 09ksc@hanmail.net 010-8582-4456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범최(凡崔)문경종합온천 갤러리.. |
문경시행정동우회 '한마음 봉사단.. |
문경경찰서, ‘찾아가는 치안드림.. |
문경시, 365일 연중무휴 스마.. |
제 22 대 국회 , 기획재정위.. |
2025년 문경시아이돌봄지원사업.. |
문경소방서, 2025년 상반기.. |
시원한 수영장으로 풍덩!.. |
‘지구를 위해 채식을 실천하자’.. |
장바구니 들고 지구를 지켜요... |
문경시 관내 초등학교 교감선생님.. |
마성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시원한.. |
문경시보건소, 어린이 건강습관 .. |
장마와 수건.. |
문경경찰서, 기초질서 미준수 관.. |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과 함께.. |
점촌도서관에서 출발해요, 우주로.. |
2025년 경북 7월의 독립운동..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찾아가는.. |
경북도,‘식품로봇 푸드테크 연구.. |
문경시가족센터, 청주대학교와 연.. |
문경시, 2025년 생생국가유산.. |
문경시, 신현국 시장 민선8기 .. |
경북교육청, 문경․예천교육지원청.. |
대한적십자사 문경시지구협의회 사.. |
故김용배장군 제74주기 추모제 .. |
경북교육청, 여름방학 대비 ‘경.. |
제9대 문경시의회 후반기 출범 ..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 |
불소도포로 충치 안녕! 치아 튼.. |
[호서남초]‘제79회 전국씨름선.. |
2025년 순창오픈 종합국제소프.. |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학생.. |
문경소방서 소방행정자문위원회 관.. |
「박열의사기념사업회」 ‘나라사랑..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