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진왜란 의병일기 문경에서 발견
산양면 송죽리 천연재 권용중(1552~1598) 선생의 일기인『용사일록(龍蛇日錄)』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7년 05월 17일(수) 13:48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임진왜란 때 문경의병의 활동상황이 생생하게 기록된 의병일기가 발견되었다. 안동권씨 집성촌인 산양면 송죽리 못골에 기거하던 천연재 권용중(1552~1598) 선생의 일기인『용사일록(龍蛇日錄)』이 후손에 의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지난 2011년에도 산양면 신전리 개성고씨 문중의 성재 고상증 선생이 쓴 임란 때의 일기인 『용사실기(龍蛇實記)』가 발견되어 문경지역 의병의 활동상황을 소상하게 알 수가 있었는데, 이번에 발견된 임란 일기도 비슷한 시기의 것으로서 당시 문경의병 창의와 참가인물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용사일록』은 임란이 발발하고 이틀 뒤인 4월 15일부터 정유년 1597년 12월까지 쓰여진 일기로서 저자인 권용중이 형 권의중(1547~1602)의 곁을 지키면서 활동한 내용을 소상히 기록한 것이다.
일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역의 사족들이 모여서 의병을 거의하고 조직을 갖추는 일, 백성을 회유하여 각자 무기를 갖추고 자기가 사는 지방은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독려하는 일, 문경을 중심으로 한 인근 지역의 전투성과 등의 내용이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용사일록』 내용의 주인공인 권의중은 본인의 의병활동과 업적을 알리는 일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그의 덕행과 풍모가 더욱 후세인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올해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425년이 되는 해이다. 음력으로 1592년 4월 13일에 발발하여 정유재란까지 7년이나 지속된 우리 민족 최대의 아픔이었던 전쟁으로 기억된다. 나라를 구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초개와 같이 목숨을 버려가며 이 땅을 지킨 선조들 덕분에 우리는 지금도 이 자리에 있는 것이다.
문경시에서는 『용사실기』와 『용사일록』 일기의 기록을 토대로 문경의병의 기념비를 세우기로 하고 오는 5월 22일 임란 옛 전적지인 영신숲에서 제막식을 거행한다.
그동안 잊혀졌던 조상의 업적을 지금이라도 현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 임란일기가 참으로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문경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멘토-.. |
문경시, 제103회 어린이날 대.. |
'저출생 부담타파, 나도 아이도.. |
멈추지 않는 YES 봉사로 산북.. |
경북 초대형 산불, 초고속 회복.. |
경북도, 제103회 어린이날 기.. |
한인 경제인 화합의 장’2025.. |
부처님께 간절히 청원 드리옵니다..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자원봉사.. |
경북도, 민원 서비스 향상을 위.. |
아버지.. |
문경署, 문경찻사발축제 ‘찾아.. |
문경시보건소, 어린이 한의약 건.. |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
신현국 문경시장,‘중앙공원 정비.. |
“청소년 진로탐색의 꽃을 피우다.. |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
문경찻사발축제, 고향사랑기부와 .. |
2025 행복1번지 점촌5동 한.. |
2025 문경찻사발축제 주요행사.. |
임이자 당협위원장, 국민의힘 상.. |
2025 청소년 나라사랑 안보현.. |
[호서남초] 2025학년도 호서.. |
[호서남초]‘제26회 증평인삼배.. |
한마음으로 뛰고 웃는 호계교육 .. |
가족과 함께 웃고 달린 하루, .. |
함께 지키고 함께 찾는 사제동행.. |
유아들에게 웃음과 행복을 선사한.. |
문경시정신건강복지센터 문경제일.. |
문경시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주.. |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
문경시, 2025년 건물번호판 .. |
마성면 새마을회, 선진지 견학.. |
영순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린이.. |
문경읍과 문경의용소방대, 합동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