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경문화원 문화가족 60여 명 문화탐방
울산 문화유적을 찾아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6년 12월 01일(목) 14:10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 문경문화원(원장 현한근) 문화가족 70여 명은 지난달 30일 울산광역시 일대의 문화유적을 탐방했다.
이날 문화탐방은 울산암각화박물관을 먼저 견학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울산암각화박물관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에 있으며, 지난 2008년 국보 제285호인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와 국보 제147호인 울주 천전리 각석(蔚州 川前里 刻石)을 소개하고 국내 암각화 연구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암각화는 선사시대에 바위에 새겨진 그림으로 선사시대 사람들의 의식과 종교 관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울산암각화박물관을 견학한 후, 울산대왕암 근처로 이동하여 점심식사를 하고 이어 대왕암을 둘러보았다. 경주 대왕암과 울산 동구 대왕암은 같은 이름을 지녔지만, 그 뜻과 가치는 다르다. 경주 대왕암은 문화재이지만, 울산 동구의 대왕암은 명승의 성격이 짙다. 또 경주 대왕암이 문무왕릉 수중릉인데 비해, 울산 동구의 대왕암은 우아한 자태와 범상치 않은 기품 때문에 문무대왕 왕비의 수중릉이란 설이 구전됐다. 푸른 바닷물 위로 솟은 진황색 바위, 그리고 그 틈새로 자란 해송들이 깊은 인상을 준다.
이어서 찾아간 태화강 십리대숲은 대나무 숲이 태화강을 따라 십리에 걸쳐 펼쳐져 있다고 해서 '십리대숲'이라고 부르는데, 본격적으로 대숲이 형성된 곳은 무거동 삼호교부터 태화동 동강병원까지이다. 폭은 20∼30m, 전체면적은 약 29만 m²이다. 일제시대에 큰 홍수로 인해 태화강변의 전답들이 소실되어 백사장으로 변했을 때, 한 일본인이 헐값에 백사장을 사들여 대숲을 조성하고 그 후 주민들이 앞다투어 대나무를 심음으로써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한때 주택지로 개발될 뻔하였으나 시민들의 반대로 대숲을 보존할 수 있었다. 그 후 간벌작업과 친환경호안 조성작업, 산책로 조성작업을 벌여 현재는 울산을 대표하는 생태공원이 되었다.
모든 일정을 마친 문화탐방단은 아쉬움을 뒤로 하고 문경으로 출발했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과 함께.. |
점촌도서관에서 출발해요, 우주로.. |
2025년 경북 7월의 독립운동..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찾아가는.. |
경북도,‘식품로봇 푸드테크 연구.. |
문경시가족센터, 청주대학교와 연.. |
문경시, 2025년 생생국가유산.. |
문경시, 신현국 시장 민선8기 .. |
경북교육청, 문경․예천교육지원청.. |
대한적십자사 문경시지구협의회 사.. |
故김용배장군 제74주기 추모제 .. |
경북교육청, 여름방학 대비 ‘경.. |
제9대 문경시의회 후반기 출범 .. |
'문경교육지원청 이병화 행정지원.. |
불소도포로 충치 안녕! 치아 튼.. |
[호서남초]‘제79회 전국씨름선.. |
2025년 순창오픈 종합국제소프.. |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학생.. |
문경소방서 소방행정자문위원회 관.. |
「박열의사기념사업회」 ‘나라사랑.. |
바르게살기운동 점촌3동위원회, .. |
점촌3동“친절한 소영씨”를 소개.. |
문경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춘기.. |
흥덕생활공원 어린이물놀이터 7월.. |
국민건강보험공단 문경예천지사 김.. |
경북교육청, 7월‘소통·공감의 .. |
이철우 도지사, 「경북의 성과와.. |
2025년 한국농촌지도자문경시연.. |
문경시 청년센터, 전략위원회 위.. |
문경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올.. |
제33회 경북 역사인물 학술발표.. |
대한어머니회 문경시지회, 문경시.. |
문경시, 민·관 협력을 통해 위.. |
영순면 행정복지센터 2분기 친절.. |
이철우 경북도지사, 급성 림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