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칼럼> 조용히 살리라.
글쓴이 / 김시종(76 시인, 한국펜클럽본부 경북지회장)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6년 08월 05일(금) 20:53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필자도 전성시절엔 기증시집이 한 달에 몇 십 권씩 도착하여, 일일이 책꽂이에 꽂지도 못했다. 그 때는 꾀가 덜 나서 받은 시집을 한 권도 안 빼놓고 무조건 독파(讀破)했다.
잘된 시집은 거의 없고 보통 이하의 시집이 대부분이었다. 저질(?)의 시집을 무조건 읽다보니 필자의 시 수준에도 나쁜 영향을 크게 끼쳤다.
이래선 안 되겠구나 뒤늦게 깨닫고 시집 제호로 삼은 시를 한 편 읽고 시적 요건이 충족되었으면, 나머지 작품도 읽고, 시집 제호의 시가 불합격품(?)이면, 그 시집을 제쳐놓았다. 시집을 낼 때 시집 제호로 삼는 시는 수작(秀作)을 골라 실을 필요가 있다.
시집을 받고나서 가만히 있는 것도 예절바른 사람이 취할 도리가 아니다. 간단한 격려 전화나 엽서 한 장이라도 날리는 것이 보내준 시인에게 용기를 주는 쾌거가 될 것 같다.
필자의 경우 자작시집을 보낼 때 절대로 등기우편으로 보내지 않고 보통우편으로 한다. 보내드려 봤지만, 엽서 한 장도 없는 사람이 99%인데, 보통우편으로 보내는 것이 실망을 절약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실은 남의 무관심만 탓할 권리가 필자에게도 없다. 시집을 받고 예의(전화-엽서)를 표시하는 것은 내용이 제대로 된 시집일 경우에 한정하고 있다. 어떤 사람은 천편일률적인 감사장을 복사하여 시집 이름과 시인 이름만 육필(肉筆)로 적어 보낸다. 개성이 없는 무성의를 나무라기 전에 그것도 궁한 방책으론 무난한 듯하다.
필자는 며칠만 있으면 김시종 37시집 ‘비수(鼻水)’를 낸다. 지금까지 시집을 보내드리면 일일이 읽어보시고 참한 엽서를 빼먹지 않으시는 중진시인 김종길 교수님의 후진을 배려하시는 도덕성에 깊은 감명을 느낀다. 대구의 정영범 장로님은 필자가 시집을 보내드릴 때마다 안 빼먹고 격려전화를 해주셔서, 전화를 받으면서 다음 시집도 빨리 반드시 내야겠다는 마음을 다지게 됐다. 다른 분들도 시집을 받으시면 김종길 시인 교수님과 대구 정영범 장로님을 수범하시면 우리나라에 좋은 시집이 더 많이 태어날 것 같다.
요사인 필자도 전성시대를 지난 탓인지 한 주일에 신간시집이 한두 권만 온다. 그 시집들을 읽으면서 시에서 시인의 개성을 발견할 수가 없고, 붕어빵틀에 구어 낸 붕어빵처럼 천 편이 한 편처럼 시가 도식화(圖式化)되어 그런 시는 읽을수록 시 맛이 떨어지고 시에 입덧이 나서 환장할 노릇이다.
시인에게 꼭 있어야 할 것은 자기 세계와 개성이다. 2만 명이 넘는 한국 시인이 감동도 없는 똑같은 시를 짓는다. 그럴 바엔 1백명 이내만 대표로 시를 짓고, 나머지 인원은 국토청결운동에 동원하는 게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상책(上策)이 아닐까.
요사이 통탄할 시단의 적폐는 패거리 고착이다. 시인-평론가-언론기관-출판사가 한 조가 되어 북치고, 장구치고 인기를 조작하여 베스트셀라도 척척 인위적으로 만들어낸다. 요즘 시집 발행부수는 500부-1,000부를 오르내린다. 출판비 300만원-400만원-500만원 수준이다.
필자의 경우엔 시집을 낼 때 분량은 100쪽 내외로 하여 독자들이 단숨에 읽을 수 있게 배려하고, 출판비 100만원 정도를 엄수하여, 가계에 지장을 최소화하고 정가도 파격적으로 5천원을 고수(固守)한다. 시도 재밌는 단시(短詩)를 실어 독자에게 적절하게 서비스를 하고, 시집의 절반 정도는 실감 나는 칼럼을 20편 이상 실어 시와 산문의 장벽을 허물어 시와 산문이 하모니를 이룬다.
필자는 개인 시집 37권과 수필집 4권 등 모두 41권의 개인 문집을 펴냈지만, 출판기념회는 일부러 한 번도 벌이지 않았다. 남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개인의 철학과 출판기념회를 책을 펴낼 때마다 하여 출판기념회에 과도하게 신경을 쓰면, 출판기념회가 짐이 되어 원활하게 창작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출판기념회 무용론(無用論)은 다작의 산실(産室)이 되어준 다산(多産)의 비결이기도 하다. 필자는 시비(詩碑)도 간소하게 세운다. 시비 건립비용도 50만원 내지 100만원 이하로 지출한다. 시비엔 약력은 안 적어 빼놓고 시비 하나에 전면-후면 도합 2편의 시를 소개한다. 시 길이도 10줄 안쪽의 단시(短詩)고 청중을 동원하여 시비건립 행사 등 형식적인 것은 과감하게 빼먹는다.
필자는 문학 활동의 내실(內實)을 중요시하고 형식적인 문학외적 과잉행동은 과감하게 절제한다. 지금까지도 조용히 살아왔지만, 앞으로도 남에게 폐를 끼치는 일 없이 참된 마음을 갖고 조용히 살 것을 다짐해본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문경 ESG 애쓰지 봉사단, 어.. |
웃음과 교육의 공존, 농업인 재.. |
별이 빛나는 밤! 이웃과 함께 .. |
봉숭아 사랑.. |
4,500명이 열광한 2025 .. |
(재)문경시장학회, 따뜻한 나눔.. |
문경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사.. |
문경시, 여름철 어린이 물놀이축.. |
점촌2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우수봉사.. |
“2025년도 농지이양 은퇴직불.. |
경북도, 산불피해 특별재난지역 .. |
경북도, 예천에 글로벌 브랜드 .. |
창의 융합 영재캠프, 미래 리더.. |
문창고, 2025 SW미래채움 .. |
노욕과 자식농사.. |
광복 80주년 기념 「가네코 후.. |
점촌2동 주민자치위원회 8월 월.. |
故 육영수 여사 서거 51주기 .. |
제14회 시민과 함께하는 시낭송.. |
제27회 문경칠석차(茶)문화제 .. |
문경소방서, 2025년 을지연습.. |
문경 점촌역 광장에서 8.15광.. |
경북도, 제3회 추가경정 예산 .. |
문경소방서 의용소방대, 충남 서.. |
경북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 |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 |
경북교육청, 2025. 9. 1.. |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문경지.. |
2025학년도 특수교육 지원인력.. |
호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 |
영순면 새마을회, 여름맞이 제초.. |
문경시 지역아동센터 아동화합한마.. |
‘어르신 스포츠 시설 이용료 지.. |
문경경찰서, 제2차 선도심사위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