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교사적비(唐橋史蹟碑)
글쓴이 / 원로시인 김시종(한국펜클럽본부 경북지회장)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 입력 : 2015년 10월 31일(토) 17:27
공유 :   
|
 |  | | ⓒ 문경시민신문 | 가끔 문경시청에 들리면 시청광장 가장자리에 우뚝 선 당교사적비와 마주친다.
당교사적비는 점촌시 2대 시장 신의웅 시장님이 세웠다. 신의웅 시장님은 부임하는 임지마다 그 지역에 걸맞는 사실(史實)을 발굴하여 기념비나 기념탑을 조성하여 지역민의 애향심을 북돋아준 고마운 지방단체장이었다. 점촌시장으로 오시기 전에 군위군수로 재직하면서 역사박물관을 세워 군위군민의 자존심을 세워주었다. 아다시피 군위 인각사는 ‘삼국유사’의 산실이기도 하다.
점촌시장으로 부임하신 지 얼마 안되어 필자가 신 시장님을 처음 만난 자리에서 삼국유사에 실린 ‘당교’이야기를 들려 드리고 당교(되다리) 부근에 사적비를 세우는 게 어떠시겠느냐고 화두를 꺼냈다. 곧 바로 삼국유사에 실린 ‘당교’역사를 복사해 드렸다. 신 시장님은 필자의 건의를 받아들여 당교사적비를 세우게 되었다. 그 당시 점촌시민들은 점촌시에 대한 정체성이 전혀 없고 점촌(店村)이란, 옛날에 사기를 빚는 점놈이 살던 동네라고 점촌자체를 비하했다. 신 시장님은 내게 당교사적비 비문까지 맡겼다. 주문을 받자마자 나는 곧바로 당교사적비 비문을 완성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나는 원고청탁을 받으면 그날 바로 지어 속달등기로 보내는 괴벽(?)이 있다. 내가 비문을 짓고 나니 시샘하는 사람이 너무 많았다. 비문을 저명교수가 지어야지 중고교사가 지으면 되겠느냐는 둥 흔들어대어 나는 곧바로 낙마(落馬)하게 되었다. 비문내용이 부실하다면 이해가 되지만 교수가 아닌 것을 탈 잡으니 너무 한심스러웠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사고는 실력보다 형식을, 겉치레에 목숨을 거니 진짜로 망국병이다. 당교사적비의 입안자요, 중심이었던 나는 하루아침에 찬밥신세가 되었다. 문화원과 시청관계자가 직접 당시 국사편찬위원회 박영석 위원장님을 방문하고 당교사적비 비문을 지어달라고 사정을 했지만 일언지하에 거절을 당했다. 이유는 야사(野史)에 있는 몇 줄의 기록을 맹신하고 비문을 지어주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며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공인이 할 일이 아니라고 명백하게 거절했다.
|  | | ↑↑ 문경시청 전정에 있는 당교사적비 전경 (1990년 건립) | ⓒ 문경시민신문 | | 내게 들리는 다음 소문은 대구에 있는 지역출신 국문학 교수 H씨의 비문을 받아보자는 얼토당토 안한 일을 획책했다. 그동안 애쓴 나를 따돌리고 멋대로 한 짓거리가 고마울리야 없지만 사심 없이 내가 발의한 일인 만큼 내가 구원투수를 자처하고 나섰다. 몇 해 전 한국 중등학교 역사교사단 일본문화재 및 사적지 탐방 때 지도교수로 일본에 갔다 오신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정영호 교수님이 생각났다. 정영호 교수님은 서울대 사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시고 수십 년 역사학 교수로 재직 중이고 국사편찬위원이며 문화재위원으로 당교사적비문을 받을 수 있다면 그 이상 적격자가 있을 수 없었다. 필자가 정영호 교수님을 찾아 그간의 안부를 묻고 비문을 지어주시면 당교사적비 사업이 더욱 빛나겠다고 말씀드렸더니, 비문을 짓자면 시간이 좀 필요하겠다며 일단 쾌락하셨다. 나는 호주머니에서 당교사적비문을 지은 것을 꺼내어 보여 드렸더니 한번 훑어보시더니 이 이상 비문을 지을 수 없다며 내가 드린 비문 초안을 비문 원안으로 즉석에서 확정지었다. 단 문장 중 ‘하여’를 ‘하며’로 글자 한 자만 고쳤을 뿐이다. 나의 조그만 활약으로 당교사적비는 급물살을 타고 제막식을 했다. 제막식 날 당교비 건립 유공자는 내가 아닌 엉뚱한 인사였다. 세상살이는 밥 짓는 사람 따로 있고 밥 먹는 사람 따로 있게 마련이다.
|  | | ↑↑ 문경시 모전동과 함창읍 경계에 있는 당교사적지비 (상주시 건립) | ⓒ 문경시민신문 | | 솔로몬왕에게 제소한 창녀재판사건이 생각난다. 솔로몬왕은 두 창녀가 다툴 것 없이 산 아이를 절반 동강이 내어 공평이 나눠가져라 했을 때, 아이의 진짜 어머니는 이 아이가 내 아들이 아니니 저 여자에게 그냥 주라고 했다지 않는가. 내가 당교사적비를 지금도 주목하는 것은 비문을 내가 기초했기 때문이 아니다.
오늘날 자랑스런 대한민국이 존재하는 것은 신라의 위대한 삼국통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세계 최대 강국 당을 물리치고 당시 다른 민족이었던 삼국의 민족통일을 이룩하고 일본의 잦은 침략도발을 없애고 민족문화를 하나로 이룩한 저력은 강국 고구려도 못한 일을 약골 신라가 해낸 것이다.
만일 고구려가 삼국통일을 했다면 중국이 한반도 전역을 먹어치워 오늘의 대한민국은 있을 수도 없을 것이다. 신라가 삼국통일을 한 것은 우리 역사 최대의 쾌거다.
|
|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문경소방서 의용소방대, 충남 서.. |
경북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 |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 |
경북교육청, 2025. 9. 1.. |
문경교육지원청 2025년 문경지.. |
2025학년도 특수교육 지원인력.. |
호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 |
영순면 새마을회, 여름맞이 제초.. |
문경시 지역아동센터 아동화합한마.. |
‘어르신 스포츠 시설 이용료 지.. |
문경경찰서, 제2차 선도심사위원.. |
문경차사랑회 창립총회 개최.. |
점촌 중앙로타리클럽, “주거환경.. |
문경시립모전도서관, 원어민과 함.. |
문경오미자축제 미각체험관 부스 .. |
문경시보건소, 스텝박스 운동 교.. |
‘요리쿡 조리쿡 건강 간식 만들.. |
한국전력공사 경북본부, 문경시에.. |
문경시청육상단 한국신기록 제조기.. |
문경시, ‘2025 인구주택총조.. |
문경시, 찾아가는 지적 민원 현.. |
개구리밥.. |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복(福).. |
문경시의회, 경남 산청군 수해피.. |
경북교육청, 광복 80주년 기념.. |
경북도, 새정부‘국민보고대회’대.. |
임이자 기재위원장 · 조지연 국.. |
문경대학교 거버넌스협력센터, 인.. |
문경교육지원청 학생맞춤통합지원 .. |
문경시 ㈜다미(김선식 대표), .. |
경북교육청, “유아교육진흥원 전.. |
문경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검정고.. |
오감만족 2025 문경새재 맨발.. |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 지역 주.. |
점촌1동 주민자치위원회 한마음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