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4 오후 08:12:0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결혼/돌
부고안내
 
뉴스 > 인물포커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가 은 에 커 피 공 장 있 다 !
㈜ 루왁코리아 (Luwak Korea Co. Ltd) 커피전문 제조업체
대표 : 이정무(1965년생)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입력 : 2014년 06월 29일(일) 13:03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 대표 : 이정무(50세)
- 회사명 : ㈜ 루왁코리아 (Luwak Korea Co. Ltd) 커피전문 제조업체
- 사훈 : 나눔
- 본사/공장 : 경북 문경시 가은읍 가은 공단길 50번지
- 서울 사무소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3가 16번지. 우린 e-BIZ 센터 505호


☞ 연혁
- 2009. 8 ㈜루왁코리아 설립
- 2010. 4 ㈜한국미니스톱(CVS) 원두커피 납품
- 2010. 12 스무디킹 원두커피 납품
- 2011. 8 웅진홀딩스 원두커피 납품
- 2012. 2 원두스틱커피 ‘카페리토’ 3종 출시
- 2012. 8 공장 확장 이전(경상북도 문경시 가은공단 내)
- 2012. 11 ㈜홈플러스 카페리토 3종 입점
- 2013. 3 ㈜팔도, ㈜젠푸드, ㈜MSC 더치커피 추출액 납품
(CVS 아이스 더치커피 파우치 판매 중)
- 2013. 4 마이크로 분쇄기 설치
- 2013. 6 ㈜웅진식품 인스턴트커피 납품(캔커피 원료)
- 2013. 6 킴스클럽 카페리토 3종, 루왁더치9 입점 계약
- 2013. 6 ㈜비락우유 더치커피 추출액 납품
- 2013. 7 ㈜이디야 원두스틱커피 OEM 계약체결
- 2013. 7 ㈜SPC ‘던킨 도넛츠’ 원두스틱커피 납품
- 2013. 8 원두스틱커피 ‘카페리토’ 3종 중국 수출
- 2013. 11 서울우유 협동조합, 커피 추출액 납품

‘코피루왁’이란 ‘코피 (인도네시아어: Kopi)’ 또는 ‘시벳 커피(영어: Civet coffee)’로 불려지며 루왁은 사향고양이를 뜻한다.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주요 생두 품종은 로부스타(Robusta)와 아라비카(Arabica)로, 전체 품종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커피 열매를 먹은 사향 고양이(Civet)의 배설물에서 커피 씨앗을 채취하여 가공하는데 사향고양이는 커피 열매를 먹어도 커피콩은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 커피 생두의 생산과정에서 습식법(Wet Method)에 해당하는 과정을 사향고양이의 소화기관에서 거치게 되므로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게 되고, 화학적 변화에 의해 생두의 색은 더욱 짙어지고 단단해진다. 희귀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가장 비싼 커피로 유명하다.

↑↑ 루악코리아의 원두커피
ⓒ 문경시민신문


커피는 석유 다음으로 무역량이 많을 정도로 전 세계인들이 즐기는 음료이다. 우리나라도 생두를 수입하는 증가율이 2006년 9만2천 톤에서 2010년 11만7천 톤으로 증가할 만큼 커피사랑이 유별나다.

한국의 커피역사는 구한말로 올라간다. 유길준은 ‘서유견문(西遊見聞. 1889년)’에 커피가 중국을 통해 소개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선은 청일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청나라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으므로 커피가 청나라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항의 상징인 인천(제물포)은 근대문화를 상징하는 사적이 많이 남아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바로 일본인 호리 큐타로(堀久太郞)가 운영한 조선 최초의 다이부츠(大佛, Daibutsu)호텔로 지난 1889년에 건립되어 외국인들이 주 고객이었던 점을 감안해 볼 때, 양식과 커피가 제공되었다고 가늠된다.

그리고 고종황제를 주목할 수 있다. 을미사변이 일어나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하던 아관파천(俄館播遷. 1896년~1897년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 때 그곳에서 처음 커피를 접한다. 당시 러시아공사 베베르의 권유로 맛 본 강렬한 커피맛에 매료되어 커피 애호가가 된 고종은 환궁한 뒤에도 그 맛을 잊지 못해 덕수궁에 ‘정관헌’이라는 서양식 집을 짓고 커피를 즐겨 마시며 가까이 하는 신하들에게도 커피를 권하거나 하사하기도 했다고 한다. ‘로웰(Lowell)’은 고종의 사진을 처음 찍고 조선에 사진술을 소개한 인물로 이후 본국으로 돌아가 조선의 다양한 분야들을 상세히 기록한 책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속에 1884년 1월의 추운 어느 날 그가 조선 고위관리의 초대를 받아 한강변 별장에서 당시 조선의 최신 유행품이었던 커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 문경시민신문
카페리토 루왁블렌드: 향은 캐러멜, 초콜릿, 풀냄새 등의 특성이 있고, 쓴맛이 덜하고 신맛이 적절한 조화와 깊고 중후한 바디(Body)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회사소개를 해 달라.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인 코피 루왁(KopiLuwak)을 전문으로 수입-판매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기업이다. 최상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서도 최고의 재배지로 알려져 있는 자바섬에서 생산된 오리지날(Original KopiLuwak) 제품만을 취급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희소성이 있는 커피를 소중한 고객님들께 드리는 만큼 윤리적 소비운동인 공정무역(Fair Trade)을 통해 커피재배 농민들의 다양한 비영리 복지사업에도 앞장서고 있다.”

- 언제 공장이 이곳으로 이전했는가?
“지난 2012년도에 내려왔다. 문경이 교통이 좋아서 전국적으로 물류의 용이성이 뛰어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내 고향으로서 연고지에 대한 애착과 지역발전을 위해서다.”

- 회사가 두 곳이다?
“서울 사무소는 회계나 기획, 마케팅 등 주로 영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가은에서는 생산을 담당한다.”

- 이 회사의 강점은?
“우린 커피 최고의 품질과 맛을 지향하는데 그 핵심기술로 일컬어지는 ‘로스팅(Roasting)’ 기술이 뛰어나다.”

- 로스팅(Roasting)? 그게 무엇인가?
“ ‘과학’이자 ‘마술’로 불리기도 하는 이 작업은 커피를 볶을 때 불쾌한 향미의 생두가 진한 갈색의 고소한 원두로 탈바꿈되면서 비로소 원두커피로 재탄생된다. 이 과정에서 60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이 생성된다. 커피나무 열매(Cherry)를 생두(Green Bean)라 하는데 이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최대한 팽창시켜 생두가 가진 수분, 지방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탄닌 등의 성분을 조화롭게 표현하는 일련의 작업을 일컫는다. 생두의 수확시기, 수분함량, 조밀도, 종자, 가공방법 등을 파악하는 로스터(Roaster; 커피 볶는 사람)의 기술이 중요하다. 나의 자부심으로는 전 세계를 통틀어 몇 대밖에 없는 로스팅 머신(Rapid Gothot 1957)의 소유이다.”

- 어떻게 그 기계를 구입하게 되었나?
“친구 ‘토드(Todd)’를 통해 구입했다. 내가 미국에 있는 동안 그는 미국 웨스트 코스트 스타일 커피(West Coast Style coffee)의 블렌딩에 대해 기초부터 상세하게 예를 들며 가르쳐 주었고, 독서 목록을 정해 주기도 했으며 스타벅스 등 유명 회사를 고루 거친 24년 경력의 베테랑 ‘로스터’임에도 불구하고 애송이인 나에게 그 기계를 주면서 기계 운전방법, 유지-보수방법을 비디오로 찍어 보내주기도 했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생두는 맛이 없고 딱딱한 씨앗에 불과하다. 우리가 커피를 마시기까지는 생두, 커핑, 로스팅, 추출 단계를 거쳐야 한다.”

- 주요 납품처는?
“홈플러스, 서울우유, 팔도, SPC, ㈜엠에스씨, 웅진식품, EDIYA COFFEE,
SMOOTHIE KING, 던킨 도넛 등이다”

- 커퍼(Cupper)나 바리스타(Barista)란?
“커퍼는 커피의 맛과 향을 감별하는 커피감별사이며 바리스타(Barista)는 이탈리아어로 바에서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 자체 브랜드 명이나 대표적인 상호?
“루왁 더치 추출액과 까페리토(원두스틱)가 있다.”

- 제품안내를 하자면?
“원두커피 종류와 원두 스틱커피, 더치커피, 커피추출액이 있으며 단순 수탁개념으로 흔히 ‘주문자상표’ 제품을 생산 납품하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과 개발력을 갖춘 회사가 판매망을 갖춘 회사에 상품과 재화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토탈 서비스를 실현하는 ‘ODM (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모두 하고 있다.”

- 주로 어느 나라로 수출을 많이 하는가?
“중국이다. 커피는 계속 성장사업으로 앞으로의 미래 시장성도 밝다.”

- 일반 가정에서 커피를 맛있게 보관하는 팁을 준다면?
“커피는 실용 보관해야 맛있다. 냉장고나 냉동고 보관은 좋지 않다.”

- 커피의 효능으로 무엇이 있는가?
“적당히 마셨을 경우 피로회복, 음주 후 숙취방지와 해소, 졸음방지 효과, 기분전환, 입냄새 예방, 노화방지, 다이어트, 간암예방 효과, 집중력 향상 등 무수히 많다.”

- 커피가 아닌 다른 제품 개발에도 관심 있는가?
“지역특산물을 이용한 사과, 오미자 등 특화제품에 관심 있다. 음료와 제품으로 문경에서만 나올 수 있는 특화 음료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 매출액은 어떻게 되는가?
“우린 내수와 수출이 각각 50%씩이다. 작년엔 매출액이 35억 여원이었고 올해
목표액은 100억원이다.”

↑↑ 커피나무 열매(Cherry) 생두(Green Bean)
ⓒ 문경시민신문


커피이야기

칼디(kaldi)의 전설 - 윌리엄 유커스(William Ukers) ‘커피의 모든 것’의 내용으로 에티오피아의 양치기 소년인 칼디는 어느 날 자신이 기르는 염소들이 흥분하여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모습을 보았고, 그 이후 염소들의 행동을 주시했다. 며칠간 유심히 염소들을 관찰한 칼디는 염소들이 들판에 있는 어떤 나무의 빨간 열매를 먹고 나면 흥분을 하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열매의 맛과 성분이 궁금해진 소년은 열매를 먹어보았고, 열매를 먹고 난 뒤 피로감이 사라지면서 신경이 곤두서는 듯한 황홀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는 곧장 인근의 이슬람 사원에 있는 사제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렸고, 빨간 열매에 잠을 쫓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 사제들에 의해 이후 여러 사원으로 퍼지게 되었다. 그곳에서부터 커피는 이집트와 예멘으로 전파되고 종교적 의식에 사용되기도 했다.

//류명옥 기획취재팀장 pp7276@hanmail.net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2025 문경찻사발축제, 성대한..
성폭력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
문경시, 2025년 농어민수당 ..
대통령 선거에 문경 지역공약 채..
새재포럼 ‘문경 역사의 미’라는..
「문경시, 공원행복경로당 준공식..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인사 및 행정 운영에 대한 내부..
문경시, 명예국제협력관 재위촉..
최신뉴스
부처님께 간절히 청원 드리옵니다..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자원봉사..  
경북도, 민원 서비스 향상을 위..  
아버지..  
문경署, 문경찻사발축제 ‘찾아..  
문경시보건소, 어린이 한의약 건..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신현국 문경시장,‘중앙공원 정비..  
“청소년 진로탐색의 꽃을 피우다..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문경찻사발축제, 고향사랑기부와 ..  
2025 행복1번지 점촌5동 한..  
2025 문경찻사발축제 주요행사..  
임이자 당협위원장, 국민의힘 상..  
2025 청소년 나라사랑 안보현..  
[호서남초] 2025학년도 호서..  
[호서남초]‘제26회 증평인삼배..  
한마음으로 뛰고 웃는 호계교육 ..  
가족과 함께 웃고 달린 하루, ..  
함께 지키고 함께 찾는 사제동행..  
유아들에게 웃음과 행복을 선사한..  
문경시정신건강복지센터 문경제일..  
문경시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주..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문경시, 2025년 건물번호판 ..  
마성면 새마을회, 선진지 견학..  
영순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린이..  
문경읍과 문경의용소방대, 합동 ..  
문경대학교 캠퍼스‘보랏빛 향기와..  
닭치고 노쇼(No Show)? ..  
[호서남초] 서울에서의 즐거운 ..  
소중한 학교생활을 되새겨봐요!..  
동화 속 이야기와 함께하는 즐거..  
2025 문경찻사발축제, 성대한..  
경북도, 도립미술관 건립 본격화..  

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문경시민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1-81-08345/ 주소: 문경시 마성면 신현1길 20번지 / 등록일 : 2013년4월29일 / 발행인.편집인: 김정태
mail: ctn6333@daum.net / Tel: 054-553-8118 / Fax : 054-553-216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61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태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