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6 오후 12:00:53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결혼/돌
부고안내
 
뉴스 > 교육·문화 일반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문경에서 전통 시제(時祭) 봉행
개성고씨 문중 입향조 퇴산(退山) 선생 묘소
문경시민신문 기자 / ctn6333@hanmail.net입력 : 2013년 10월 28일(월) 22:57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 문경시민신문
문경지역에서 가을걷이가 막바지로 치닫는 추수(秋收)의 계절 끝이면, 가문마다 시제(時祭)가 봉행돼 왔다. 대부분 음력 10월 상달에 올려 지는데, 윗대 어른부터 모셔야 하기 때문에 제일 윗대 조상의 시제는 보통 9월말에 올려 진다.

지금은 대부분 사라진 풍속이 된 시제. 음력 9월말 정일(丁日)인 28일. 조선조 초기인 1420여 년 경 문경으로 입향해 600여 년을 세거해온 개성고씨 문중이 전통방식으로 시제를 올렸다.

영순면 오룡리 이곳에는 소위 열두 왕태의 입향조인 퇴산(退山) 고사원(高士原) 선생의 묘소가 있는 곳. 묘소 앞에는 제사(祭舍)인 퇴산재(退山齋)가 있고, 이곳에서 하루 전부터 시제 준비를 했다고 한다. 몇 몇은 마당에 큰 솥을 걸어놓고 육개장을 끓이고, 몇 몇은 방안에서 제수를 재여 묘소로 옮겼다.

그러는 중에 후손들이 제관, 참제원으로 모이기 시작했다. 오전 11시 10분 전. 이날 아헌관으로 봉청된 고씨중앙종문회장과 그 일행 5명이 당도하고, 오전 11시 무렵 고윤환 문경시장이 참제원으로 당도하자 분위기는 푸근해졌다.

먼저 모든 후손들이 둘러 앉아 분정(分定)을 시작했다. 이번 시제에서 누가 무엇을 할 것인지 정하는 절차다. 초헌관은 고재하 문경종문회장, 종헌관은 구음파 고봉림 유학이 맡기로 하고, 알자, 대축, 봉작, 전작, 진설, 판설 등 시제를 모시는데 필요한 임무가 한 사람 한 사람 호명되며 분정기에 씌어졌다. 20여 분에 걸쳐 분정을 마치자 어른들이 ‘됐다’며 고개를 끄덕이자 집사 2명이 분정기를 펼쳐들고 한 바퀴 돌았다.

그리고 모두 제사 뒤에 있는 묘소로 향했다. 가을햇살이 푹 퍼진 오시(午時)의 하늘은 청명했고, 멀리 들판에는 추수 덜한 누른 벼가 덤성덤성 남아 있었다. 멀리 천마산이 말 탄 기세로 동해로 향하고, 낙동강, 내성천, 금천 등 3강이 주변을 휘감아 돌았다.

줄잡아 30여 명이 묘소 앞에 섰다. 그리고 홀기(笏記)가 시작됐다. 요즈음 말로 하면 제사 사회(司會) 격이다. 옛 그대로 한자어로 말하면 알자가 나가 헌관을 모셔오고, 헌관은 점잖게 알자가 이끄는 대로 잔을 올린다. 그렇게 3잔을 올리고 절을 하면 30분 정도 시간이 걸린다. 생각보다 길지 않다.

그리고 모두가 앞에 있는 제사(祭舍)로 내려오고, 준비된 음복음식과 점심을 나누며 정을 나누는 시간이다. 여기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봉개’다. 시제에 올렸던 인절미, 돼지고기, 부침개 등을 참여한 모든 후손들에게 골고루 분배해 싸주는 일이 분주하다.

이 퇴산공은 고씨 중시조 성주공 말로(末老)의 12세손이고, 양경공 영신(令臣)의 9세손이며, 판도판서(版圖判書) 영(瑛)의 둘째 아들이다. 고려 공양왕 때 과거에 급제해 조선 태종(太宗)때 예안(禮安)과 함안(咸安), 합천(陜川)등의 현령을 지냈고, 1414년(태종14년 甲午)에 예문관 직제학(藝文館 直提學)을 지냈다.

그후 벼슬을 버리고, 개성에서 안주(安州-지금의 경기도 안성)로 이거했고, 당시 문경, 용궁지역에 세거하던 국파 전원발 선생(용궁 전씨, 문경지역에서는 속칭 개이 전씨라고도 함)과의 인연으로 지금의 문경시 영순면 왕태리로 입향, 그 자손 개성 고씨(문경지역에서 속칭 왕태 고씨)가 번창, 많은 문과, 무과 급제자를 비롯해 현대까지 끊임없이 인물을 배출하며 2,000여 호 살고 있다.
/문경매일신문에서 따옴
문경시민신문 기자  ctn6333@hanmail.net
- Copyrights ⓒ문경시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2025 문경찻사발축제, 성대한..
부처님께 간절히 청원 드리옵니다..
성폭력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
문경시, 2025년 농어민수당 ..
대통령 선거에 문경 지역공약 채..
새재포럼 ‘문경 역사의 미’라는..
「문경시, 공원행복경로당 준공식..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문경시, 2025년 건물번호판 ..
최신뉴스
문경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멘토-..  
문경시, 제103회 어린이날 대..  
'저출생 부담타파, 나도 아이도..  
멈추지 않는 YES 봉사로 산북..  
경북 초대형 산불, 초고속 회복..  
경북도, 제103회 어린이날 기..  
한인 경제인 화합의 장’2025..  
부처님께 간절히 청원 드리옵니다..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자원봉사..  
경북도, 민원 서비스 향상을 위..  
아버지..  
문경署, 문경찻사발축제 ‘찾아..  
문경시보건소, 어린이 한의약 건..  
문경새재 케이블카, 안전기원제로..  
신현국 문경시장,‘중앙공원 정비..  
“청소년 진로탐색의 꽃을 피우다..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문경찻사발축제, 고향사랑기부와 ..  
2025 행복1번지 점촌5동 한..  
2025 문경찻사발축제 주요행사..  
임이자 당협위원장, 국민의힘 상..  
2025 청소년 나라사랑 안보현..  
[호서남초] 2025학년도 호서..  
[호서남초]‘제26회 증평인삼배..  
한마음으로 뛰고 웃는 호계교육 ..  
가족과 함께 웃고 달린 하루, ..  
함께 지키고 함께 찾는 사제동행..  
유아들에게 웃음과 행복을 선사한..  
문경시정신건강복지센터 문경제일..  
문경시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주..  
2025년 경북 산불 피해 복구..  
문경시, 2025년 건물번호판 ..  
마성면 새마을회, 선진지 견학..  
영순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어린이..  
문경읍과 문경의용소방대, 합동 ..  

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문경시민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1-81-08345/ 주소: 문경시 마성면 신현1길 20번지 / 등록일 : 2013년4월29일 / 발행인.편집인: 김정태
mail: ctn6333@daum.net / Tel: 054-553-8118 / Fax : 054-553-216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61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태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